학술논문
A Study on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이용수 5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김인수(Insoo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90집(2020년 가을호), 489~52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의 독특성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슐라이어마허는 그의 신학에서 삼위일체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나아가 사벨리아니즘을 따른다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은 기독교 신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부들의 삼위일체 이해와 그 맥락을 같이 함으로 전통을 고수함과 동시에 재해석하여 발전시켰음을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에게 삼위일체론은 추상적인 교리적 관념이 아니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며 나아가 하나님의 인과율에 따라 인간의 의식과 감정 속에 깃든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틀을 마련해 주는 중요한 삶의 원리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explores the Trinity of Friedrich Schleiermacher. Generally, Schleiermacher has been accused of marginalizing the Trinity in his theology and as reflecting Sabellius’s theology. The author argues that the Trinity for Schleiermacher is not marginalized; rather, it plays a pivotal role in understanding Christian faith. Although the Trinity refers to God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in Schleiermacher’s Trinity, the persons are not separate; each is the essence of the divine. In this sense, the Trinity of Schleiermacher exceeds Sabellianism by drawing on patristic theology, such as the writings of Athanasius, Irenaeus, and the Cappadocians. However, Schleiermacher goes beyond the early fathers by applying his concept of the Trinity to Christian consciousness. Although Schleiermacher is the so-called father of modern liberal theology, he develope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ithin the tradition to apply to religious feeling and consciousness, which was a contemporary issue. After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leiermacher’s Trinity and the patristic theology, the author describes Schleiermacher’s novel perspective on the Trinity: God’s redemptive love is embedded in the Trin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Importance of Schleiermacher’s Trinity in Overcoming Sabellianism
Ⅲ. The Trinity of Schleiermacher and Patristic Theology
Ⅳ. Schleiermacher’s Novel Perspective on the Trinity
Ⅴ. Conclusion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슐라이어마허 삼위일체론의 중요성과 사벨리아니즘 넘어서기
Ⅲ. 교부들의 삼위일체론과 슐라이어마허 삼위일체론
Ⅳ. 슐라이어마허 삼위일체론의 특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자를 향한 교회
- A Study on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됨’ 연구
- 문익환의 민주화·통일 실천의 변증법적 성찰
- 니케아 신경은 종교 권력의 지배 이념인가?
- 한국 교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 확립의 의의와 그 적용성
- 복음이 과학과 만날 때
-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
- 디아코니아학의 도움으로 “해방신학 유효하게 만들기”
- 인구 절벽 시대, 교회의 베이비부머에 대한 재이해
- 구약성서의 구성과 그 신학적 의의
- 성 소수자 혐오의 혐오성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의 비판적 논증
- 비접촉 시대에 예수님과 접촉하기
- 『성교요지』(聖敎要旨)의 원본 마틴 선교사의 『쌍천자문』(雙千字文)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