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Features of Eyes with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and No Recurrence Over One Yea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재현(Jae Hyun Park) 이국(Kook Lee) 박영훈(Young Hoo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9, 1048~105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표는 치료 중단 후 1년 이상 재발 이력이 없으며 좋은 시력을 유지하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대상과 방법: 결절맥락막혈관병증을 새롭게 진단받고 항혈관내피성장인자 1달 간격 3회 주사 치료 또는 광역학요법과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복합 치료를 초기 치료로 시행 받은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기 치료 후 1년 이상 재발하지 않고 추가적인 치료없이 우수한 시력을 유지한 이들(비재발군, 47안)과 병변의 재발로 반복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들(재발군, 54안)로 나누었으며, 두 군 간에 빛간섭단층촬영 및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 소견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비재발군은 재발군에 비해 최대병변직경의 크기가 작았으며(p<0.001), 결절의 수가 적고(p<0.001), 색소상피박리의 존재 비율이 낮았다(p=0.003). 이러한 결과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 단독 요법과 광역학요법 복합 요법의 치료 방법에 상관없이 동일한 인자들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작은 크기의 최대병변직경(p=0.002), 적은 수의 결절(p=0.013), 색소상피박리의 부재(p=0.025)가 좋은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 또한 확인되었다.
결론: 작은 크기의 병변, 적은 수의 결절, 색소상피박리가 없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들에서 초기 치료 이후 1년 이상 재발 없이 좋은 시력이 유지되었다. 기저에서 이와 같은 특징을 보인 환자들은 치료 후 추적 관찰에서 양호한 경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here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eyes with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that exhibited good visual acuity (VA) over one yea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Methods: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PCV who received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jections three times per month, with or without photodynamic therap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hose who maintained good VA for over one year (nonrecurrent group, 47 eyes) and those who required further treatment because of recurrence (recurrent group, 54 eyes). We compare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includ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and indocyanine green angiographic data of the two groups.
Results: The nonrecurrent group (initially treated via single or combination therapy) exhibited a smaller greatest linear dimension (GLD) (p < 0.001), fewer polyps (p < 0.001), and no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 at baseline (p = 0.003) compared to the recurrent group.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a lower GLD (p = 0.002), fewer polyps (p = 0.013), and absence of PED (p = 0.025) were associated with a favorable prognosis.
Conclusions: PCV eyes with smaller lesions, fewer polyps, and no PED at baseline exhibited no recurrence with good VA for over one year after treatment. Such patients can be expected to show a benign course after treatment.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안의 시신경위축을 초래한 눈톡소플라즈마증에 의한 시신경유두염
-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브린졸라미드 1.0%/브리모니딘 0.2% 복합제제의 알레르기 임상양상
-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난치성 거대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에서 자가 망막판 이식
- 기존 후방 안내렌즈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 대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의 임상결과
- 안와를 침범한 선천사골뇌류 증례
- 후두엽 신경낭미충증에 의한 동측반맹
- 지연성으로 증상이 발현된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 섬모체광응고술의 단기 효과와 안전성
- 치료 중단 후 1년 이상 재발 이력이 없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의 임상특징
-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
- 개방안구손상의 예후 평가에 있어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의 역할
- 자외선에 의한 각막 섬유아세포노화와 안지오제닌의 항노화 역할
-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로 유도된 노화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 유리체강내 주사 시 바늘 직경 차이에 따른 안구 통증 비교
- 도르래염에 동반된 후천 브라운증후군 1예
-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 칸디다 각막염의 임상분석
- 심한 두통 이후 발생한 양안 중심옆 급성 중간황반병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자가평가 도구(ECSAT-PT)의 기준점 설정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전⋅후 치위생 역량 평가
- Gilligan의 돌봄 윤리를 반영한 작업치료 윤리 통합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