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ymmetry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Parameter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in Healthy Korean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경민(Kyeung Min Kim) 임형빈(Hyung Bin Lim) 신용일(Yong Il Shin) 조영준(Young Joon Jo) 김정열(Jung Yeul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9, 1057~106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빛간섭단층혈관조영(OCT angiography, OCTA) 측정값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정상 성인 60명의 12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Hole-in-the-card test를 시행하여 우세안을 결정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중심 황반부,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를 분석하였다.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황반부의 혈관 밀도, 관류 밀도,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둘레와 면적을 분석하였다.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OCT, OCTA 측정값들의 차이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의 OCT, OCTA 지표들의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를 구하여 진단 가치를 판단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평균 나이는 27.4 ± 2.01세, 우세안은 우안 41안(68.3%), 좌안이 19안(31.7%)이었다. OCT 검사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간의 평균 중심황반두께, 황반부 신경절세포층-내망상층두께,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두께에 차이가 없었다. OCTA 검사에서 두 군 간 표층모세혈관망의 혈관 밀도, 관류 밀도,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 넓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OCT, OCTA 측정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OCT, OCTA의 측정치로는 우세안과 비우세안을 구별할 수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ssess the symmetry of microvascular parameters measured vi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of normal Korean subjec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on 120 eyes of 60 healthy Koreans. The ‘hole-in-the-card’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ocular dominance. Central macular,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d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were measured via spectral domain OCT. Vessel and perfusion density and the area of the foveal avascular zone (FAZ) were measured via OCTA. We used the paired t-test to compare all between-eye parameters. We calculated areas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to determine diagnostic utility.
Results: The average participant age was 27.4 ± 2.01 years. Forty-one subjects (68.3%) were right eye-dominant and 19 (31.7%) left eye-dominant. None of the central macular, macular GC-IPL, or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differed between the eyes; neither did any OCTA-assessed microvascular parameter (vessel or perfusion density or the FAZ area).
Conclusions: No OCT or OCTA parameter differed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No parameter identified ocular dominance.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안의 시신경위축을 초래한 눈톡소플라즈마증에 의한 시신경유두염
-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브린졸라미드 1.0%/브리모니딘 0.2% 복합제제의 알레르기 임상양상
-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난치성 거대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에서 자가 망막판 이식
- 기존 후방 안내렌즈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 대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의 임상결과
- 안와를 침범한 선천사골뇌류 증례
- 후두엽 신경낭미충증에 의한 동측반맹
- 지연성으로 증상이 발현된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 섬모체광응고술의 단기 효과와 안전성
- 치료 중단 후 1년 이상 재발 이력이 없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의 임상특징
-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
- 개방안구손상의 예후 평가에 있어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의 역할
- 자외선에 의한 각막 섬유아세포노화와 안지오제닌의 항노화 역할
-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로 유도된 노화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 유리체강내 주사 시 바늘 직경 차이에 따른 안구 통증 비교
- 도르래염에 동반된 후천 브라운증후군 1예
-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 칸디다 각막염의 임상분석
- 심한 두통 이후 발생한 양안 중심옆 급성 중간황반병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