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hort-term Efficacy and Safety of Micropulse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in Korean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종화(Jonghwa Kim) 성미선(Mi Sun Sung) 박상우(Sang Woo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9, 1072~107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 섬모체광응고술(micropulse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micropulse TS-CPC)의 단기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압조절이 만족스럽지 못해 micropulse TS-CPC를 시행 받은 녹내장 환자 19명 19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 전과 시술 후 1주, 1개월, 3개월째 시력, 안압, 사용 중인 안압하강제의 개수, 시술 후 안압하강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안압이 6-21 mmHg 사이이거나 안압이 시술 전에 비하여 20%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되는 시술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58.0세로 19안 중 2안은 섬유주절제술, 2안은 아메드밸브삽입술, 1안은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 4안은 유리체절제술의 과거력이 있었다. 술 전 평균 안압은 26.21 ± 5.22 mmHg였으며 술 후 3개월째 17.72 ± 4.25 mmH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안압하강이 관찰되었고(p<0.001), 3개월째 시술의 성공률은 84.2%였다. 5안에서는 술 후 저안압이 관찰되었으며 총 3안에서 지속각막상피결손이 발생하여 약물 치료 후 호전되었고 2안에서 술 후 원인이 불분명한 시력저하가 발생하였으며, 9안에서 동공확대가 발생하여 3개월째까지 호전되지 않았다.
결론: Micropulse TS-CPC는 비교적 좋은 안압하강 효과를 가져왔으나 비교적 높은 비율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한국인 환자들에게 이러한 점을 고려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icacy and safety of a standardized micropulse transscleral diode laser cyclophotocoagulation (micropulse TS-CPC) procedure in Korean glaucoma patients.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19 eyes of 1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glaucoma, underwent micropulse TS-CPC and were followed for at least 3 months were reviewed. Visual acuity (VA), intraocular pressure (IOP), the number of IOP-lowering eye drops, and the success rate,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eyes achieving an IOP of 6-21 mmHg with or without medication, or an IOP decrease of ≥20% compared to baseline after the procedure, were evaluated at baseline, 1 week, 1 month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mean age was 58.0 years at the time of treatment. Among 19 eyes that were evaluated, two had a previous history of trabeculectomy, two had an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one had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and four had vitrectomy. Baseline mean IOP was 26.21 ± 5.22 mmHg, which significantly decreased to 17.72 ± 4.25 mmHg at postoperative 3 months (p < 0.001). The success rate at postoperative 3 months was 84.2%. Five eyes experienced postoperative hypotony, and persistent corneal epithelial defects in three eye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topical medication. Two of 19 eyes had a decrease in VA of unknown cause, and 9 eyes had mydriasis due to paralysis in iris constriction, which did not resolve until 3 months follow-up.
Conclusions: Micropulse TS-CPC had a relatively good IOP-lowering effect. However, a rather high proportion of patients had complications from a standardized protocol, and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performing micropulse TS-CPC in Korean patien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안의 시신경위축을 초래한 눈톡소플라즈마증에 의한 시신경유두염
-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브린졸라미드 1.0%/브리모니딘 0.2% 복합제제의 알레르기 임상양상
-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난치성 거대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에서 자가 망막판 이식
- 기존 후방 안내렌즈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 대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의 임상결과
- 안와를 침범한 선천사골뇌류 증례
- 후두엽 신경낭미충증에 의한 동측반맹
- 지연성으로 증상이 발현된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 섬모체광응고술의 단기 효과와 안전성
- 치료 중단 후 1년 이상 재발 이력이 없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의 임상특징
-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
- 개방안구손상의 예후 평가에 있어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의 역할
- 자외선에 의한 각막 섬유아세포노화와 안지오제닌의 항노화 역할
-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로 유도된 노화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 유리체강내 주사 시 바늘 직경 차이에 따른 안구 통증 비교
- 도르래염에 동반된 후천 브라운증후군 1예
-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 칸디다 각막염의 임상분석
- 심한 두통 이후 발생한 양안 중심옆 급성 중간황반병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