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layed Symptoms after Intralenticular Dexamethasone Impla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조영채(Yeong Chae Jo) 염명인(Myeong In Yeom) 김상수(Sang S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9, 1085~108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지연성으로 증상이 발현된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Ozurdex??; Allergan, Irvine, CA, USA) 1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5세 남자 환자가 우안 비문증과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 경도의 수정체핵 혼탁과 수정체 내덱사메타손 삽입물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당뇨황반부종으로 수차례 유리체강내 혈관내피성장인자억제제 주사를 받았으며, 증상 발생 약 7주 전 덱사메타손 삽입물주입술을 받았다. 환자가 증상에 따른 불편감을 지속적으로 호소하여 수정체유화술과 후방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증상은 호전되었다. 수술 1개월 후 낭포황반부종이 악화되어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MaQaid??;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Tokyo, Japan) 주사를 시행하였다. 유리체강내 주사 후 낭포황반부종은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수정체 내로 덱사메타손 삽입물을 주입하게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시술 중 주의하여야 하며, 지연성으로도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로 인한 증상이 발현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면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하며, 시력과 합병증에 따라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delayed symptoms after intralenticular dexamethasone implant (Ozurdex??; Allergan, Irvine, CA, USA).
Case summary: A 65-year-old male was referred for myodesopsia and decreased visual acuity. A dexamethasone implant was located in the crystalline lens, and the lens showed mild nucleus opacity. The patient had been treated with multiple intravitreal injections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ad received an injection of dexamethasone implant about seven weeks before symptom onset. Based on the symptoms, phacoemulsification was performed and an intraocular lens was placed within the capsular bag. After surgery, symptoms improved. One month after surgery, as cystoid macular edema worsene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 intravitreal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MaQaid??;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Tokyo, Japan).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cystoid macular edema improved.
Conclusions: Intralenticular injection of the dexamethasone implant is very rare; however, great care should be taken during the proced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nset of symptoms by intralenticular dexamethasone implant may not occur immediately following the procedure. Thus, close follow-up is necessary, with the possibility of surgical intervention depending on visual acuity and underlying complications.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안의 시신경위축을 초래한 눈톡소플라즈마증에 의한 시신경유두염
-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브린졸라미드 1.0%/브리모니딘 0.2% 복합제제의 알레르기 임상양상
-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난치성 거대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에서 자가 망막판 이식
- 기존 후방 안내렌즈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 대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의 임상결과
- 안와를 침범한 선천사골뇌류 증례
- 후두엽 신경낭미충증에 의한 동측반맹
- 지연성으로 증상이 발현된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 섬모체광응고술의 단기 효과와 안전성
- 치료 중단 후 1년 이상 재발 이력이 없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의 임상특징
-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
- 개방안구손상의 예후 평가에 있어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의 역할
- 자외선에 의한 각막 섬유아세포노화와 안지오제닌의 항노화 역할
-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로 유도된 노화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 유리체강내 주사 시 바늘 직경 차이에 따른 안구 통증 비교
- 도르래염에 동반된 후천 브라운증후군 1예
-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 칸디다 각막염의 임상분석
- 심한 두통 이후 발생한 양안 중심옆 급성 중간황반병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