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 of Orbital Computed Tomography as a Prognostic Indicator for Open Globe Inju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윤정현(Jung Hyun Yoon) 손병재(Byeong Jae S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9, 983~99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심한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 해부학적 예후를 판단하는 데 있어 술 전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이 임상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단안 개방안구손상을 진단받고 안와 컴퓨터단층촬영 후 수술 치료를 받고 최소 1년간 경과 관찰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안구적출술을 시행하거나 안구위축이 발생한 경우 해부학적 실패군으로 정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해부학적 성공군으로 정의하여 두 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122명의 개방안구손상 환자를 선정하였다.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성공군과 실패군을 비교하였을 때, 다변량 분석에서 안내출혈(교차비 5.5, 95% 신뢰구간 2.0-15.4), 안와벽골절, 안구부피 감소가 해부학적 실패와 깊은 관련성을 보였다(p<0.05). 또한 해부학적 실패군에서 외상안이 정상안에 비해 안구부피는 평균 28%, 안축장은 평균 16%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심한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 수술 전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이 안구손상 범위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만약 안내출혈, 안와벽골절, 안구부피의 심한 감소 등 나쁜 해부학적 예후 소견을 보일 경우 이를 참고하여 환자 및 보호자와 충분한 상의를 통해 안구적출술의 시행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study the clinical role of preoperative orbit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in determining initial surgery in patients with open globe injuries.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at evaluated patients who underwent an operation for single-eye open-globe injury after orbital CT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group with anatomical failure that underwent enucleation, evisceration, or phthisis bulbi and a group with anatomical success. The correlations with preoperative CT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22 cases of open globe injury were included. Comparing preoperative C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anatomical failure was correlated with the CT findings of intraocular hemorrhage (odds ratio, 5.0; 95% confidence interval [CI], 2.0-15.4), orbital wall fracture, and a reduction in eyeball volume (all p < 0.05). In the anatomical failure group, the average volume and axial length of the eyeball decreased by 28% and 16%, respectively, in traumatic eyes compared with non-traumatic eyes.
Conclusions: Orbital CT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extent of open globe injury. If the prognostic factors indicate poor results, including intraocular hemorrhage, orbital wall fracture, or a severe decrease in the volume of the injured eye in orbital CT scans, primary enucleation or evisceration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ased on consultations with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안의 시신경위축을 초래한 눈톡소플라즈마증에 의한 시신경유두염
-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브린졸라미드 1.0%/브리모니딘 0.2% 복합제제의 알레르기 임상양상
-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난치성 거대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에서 자가 망막판 이식
- 기존 후방 안내렌즈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 대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의 임상결과
- 안와를 침범한 선천사골뇌류 증례
- 후두엽 신경낭미충증에 의한 동측반맹
- 지연성으로 증상이 발현된 수정체 내 덱사메타손 삽입물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 섬모체광응고술의 단기 효과와 안전성
- 치료 중단 후 1년 이상 재발 이력이 없는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의 임상특징
-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
- 개방안구손상의 예후 평가에 있어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의 역할
- 자외선에 의한 각막 섬유아세포노화와 안지오제닌의 항노화 역할
-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로 유도된 노화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 유리체강내 주사 시 바늘 직경 차이에 따른 안구 통증 비교
- 도르래염에 동반된 후천 브라운증후군 1예
-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 칸디다 각막염의 임상분석
- 심한 두통 이후 발생한 양안 중심옆 급성 중간황반병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