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Care of the Elderly in Early Adultho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선아(Whang Sun A) 양인숙(Yang In-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1207~12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집단을 대상으로 노화에 대한 지식, 노인 접촉 경험, 노화불안, 노인 돌봄 태도를 파악하고, 노인 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18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노화에 대한 지식, 노인 접촉 경험, 노화불안 및 노인 돌봄 태도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가 기입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0세에서 44세에 해당하는 초기 성인기 대상 218명의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노화에 대한 지식, 중정도의 노인 접촉 경험과 노화불안, 다소 높은 노인 돌봄 태도를 나타냈다. 모델은 노인 돌봄 태도에 61.2%의 설명력을 보였고(F=115.07, p<.001), 예측 변인 가운데 노인 접촉 경험(β=0.56, t=9.33, p<.001)과 노화불안(β=-0.26, t=-4.24, p<.001)이 노인 돌봄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접촉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노인 돌봄 태도를 보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초기 성인기 집단이 노인 돌봄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노화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아닌, 이들의 노인 접촉 빈도와 질을 향상시키고, 노화과정과 관련된 불안을 줄일 수 있는 전략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about aging,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ging anxiety, and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mong early adulthood.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Data collected from Jan. 2018 to Jan. 2020,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nowledge about aging,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ging anxiety, and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 total of 218 subjects who were early adulthood aging from 20 to 44 were recruited. The data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bjects showed relatively low knowledge about aging, moderate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nd aging anxiety, and moderately high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The overall model significantly explained 61.2% of variance in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F=115.07, p<.001). Among predictors,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β=0.56, t=9.33, p<.001) and aging anxiety (β=-0.26, t=-4.24, p<.001)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ore positive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and less aging anxiet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strategic programs to improve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contact with the elderly and reduce anxiety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in order for the early adulthood group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