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이용수 28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lor On Potential Crim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조완임(Cao, Wan Lin) 강재철(Kang, Jae Cheol)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2(통권 15권), 167~17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양한 색채가 존재하는 일상 공간에서 우리는 심리적인 측면에서 무의식적으로 색채의 영향을 받는다. 매우 진한 빨강은 성인 남성의 호르몬을 증가시키고 정서적 흥분을 일으키며 빨간색 빛을 배경으로 한 선정적인 그림은 시각적 자극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성적 및 정서적 충동을 일으켜 범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은 현대 과학에서 이미 증명된 바 있다. 즉, 환경 색채와 범죄 발생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환경 색채와 잠재적 범죄 행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가 향후 도시 계획의 색채를 활용하여 도시 범죄를 줄이는 데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본 논문은 먼저 기존의 관련 문헌 및 이론을 토대로 환경 색채가 잠재적 범죄 행위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분석 및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 색채를 적절히 활용하여 잠재적인 범죄 행위를 줄인 5가지 사례, 즉 ‘Baker-Miller Pink’, ‘COOL DOWN PINK’, 소금길 ‘노란 열쇠 프로젝트’, 중국의 한 교도소의 환경 색채, 일본의 파란빛 가로등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공간과 색채의 3요소(채도, 명도, 순도)의 응용, 유일성, 성취 지향성 등 측면에서 환경 색채 활용을 통한 잠재적 범죄 행위 예방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잠재적 범죄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억제 작용을 강조하고자 한다. 환경 색채을 잘못 사용하면 잠재적 범죄 행위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적절한 환경 색채을 사용하는 것은 범죄를 예방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a daily space where various colors exist, we are unconsciously affected by colors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Very dark red increases the hormones in adult males, creates emotional excitement, and sensational pictures with a reddish light background have already been shown in modern science to show that the visual stimuli are much larger, which can lead to sexual and emotional impulses, which can increase the crime rate It has been done. In other word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the occurrence of crime, and it is necessary to in-depth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potential criminal activity. We hope that the research in this paper will help reduce urban crime by utilizing the color of urban planning in the future. This paper first analyzes and explain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nvironmental color on potential criminal acts based on existing related literature and theories, and based on this, five examples of reducing potential criminal acts by appropriately using environmental colors Baker-Miller Pink , COOL DOWN PINK , Salt Road Yellow Key Project , environmental color of a prison in China,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of blue street lights in Japan through three elements of space and color (saturation, brightness) , Purity), objectively evalua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crime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 colors in terms of application, uniqueness, and achievement orientation. Misuse of environmental color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otential occurrence of criminal activity, and the use of appropriate environmental color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venting crim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환경 색채 활용을 통한 잠재적 범죄 발생 예방에 관한 연구 현황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관심영역 분석
- 조형성 요소분석을 통한 공공벤치의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상세 정보디자인이 액티브 시니어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 기업이미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Me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을 활용한 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디자인씽킹 역량 강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 붉은여우 캐릭터를 소재로 한 지역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영상그래픽과정 평가유형에 따른 성취도 분석
- 실내조명기구 디자인의 혁신성과 제품구매 의도의 상관성 연구
- 도가사상을 활용한 노인용 목 안마기 사용 편의성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의 분석
- 한·중·일 전통 색채 체계 표준색 특성 비교연구
- OTT 서비스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연구
- 고령자 행위특징에 따른 베리어프리 홈(Barrier-Free Home)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