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이용수 998
- 영문명
- Proposal of Product Design for the Separation Anxiety of One-person Households Companion Dog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오지헌(Oh, Ji Heon) 김관배(Kim, Kwan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2(통권 15권), 9~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반려동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동시에 분리불안을 겪는 반려동물 또한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반려견의 분리불안은 공격성 및 이상행동을 유발하며,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견의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새로운 제품디자인을 제안하여 1인 가구가 반려견을 양육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FGI를 통해 제품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노즈워크 장난감과 크레이트로 구성된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 제품을 디자인하였으며, 전문가의 검증 및 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adopting pets increases, more pets are spending time alone at home, and at the same time, more pets are experiencing separation anxiety. In particular, companion dogs separation anxiety causes aggression and abnormal behavior and causes problems. To solve this problem, products are being released to ease separation anxiety of companion dogs, but there are limit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the market by proposing a new product design to alleviate companion dogs separation anxiety, and to help one-person households raise companion dogs. To this end, the company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oducts through FGI, designed a product composed of nosework toys and crate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 사례
4. FGI를 통한 제품 개발 방향 설정
5. 제품디자인 제안
6. 제품디자인 제안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관심영역 분석
- 조형성 요소분석을 통한 공공벤치의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상세 정보디자인이 액티브 시니어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 기업이미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Me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을 활용한 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디자인씽킹 역량 강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 붉은여우 캐릭터를 소재로 한 지역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영상그래픽과정 평가유형에 따른 성취도 분석
- 실내조명기구 디자인의 혁신성과 제품구매 의도의 상관성 연구
- 도가사상을 활용한 노인용 목 안마기 사용 편의성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의 분석
- 한·중·일 전통 색채 체계 표준색 특성 비교연구
- OTT 서비스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연구
- 고령자 행위특징에 따른 베리어프리 홈(Barrier-Free Home)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