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디자인씽킹 역량 강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이용수 807
- 영문명
- A Study o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Service Design Utilization Method for Strengthening Design Thinking Capacit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유금(Yu, Geu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2(통권 15권), 22~3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지능형 정보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혁신을 촉매하며 인간 삶의 방식과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의 장기적 대응을 위한 교육혁신에 있어서 융합기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문제를 설정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 역량 강화는 필수적이다. 4차 산업혁명 사회의 융합 패러다임에 따라 디자인은 지식 기반 접근의 전략 및 방법론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디자인씽킹은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창의융합인재 교육환경에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현상의 통합적 이해 및 맥락적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 정의와 다학제적 관점의 문제 해결 방안 도출에 최적화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계하여 4C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디자인씽킹 교육의 구체화된 역량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nging the way of life and structure by bringing innovation in overall society. In regard to education innovation for long-term response on such social changes, understanding on convergence technology and strengthening the creative convergence capacity for setting the problem and deriving the insight are essential. With convergence paradigm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the concept of design is expanding to strategy and methodology for knowledge-based approach. Representatively, design thinking gives rich inspiration on creative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environment for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study connects social design process optimized for deriving definition on social issue and multidisciplinary solution based 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contextual approach method on phenomenon to suggest detailed capacity improvement method for design thinking education in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with 4 C capac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서비스디자인 고찰
4.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관심영역 분석
- 조형성 요소분석을 통한 공공벤치의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상세 정보디자인이 액티브 시니어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 기업이미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Me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을 활용한 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디자인씽킹 역량 강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 붉은여우 캐릭터를 소재로 한 지역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영상그래픽과정 평가유형에 따른 성취도 분석
- 실내조명기구 디자인의 혁신성과 제품구매 의도의 상관성 연구
- 도가사상을 활용한 노인용 목 안마기 사용 편의성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의 분석
- 한·중·일 전통 색채 체계 표준색 특성 비교연구
- OTT 서비스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연구
- 고령자 행위특징에 따른 베리어프리 홈(Barrier-Free Home)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