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가사상을 활용한 노인용 목 안마기 사용 편의성 연구
이용수 74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ability of the Neck Massager for the elderly through the use of Taoist thought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유금악(Liu, Jin Yue) 남원석(Nam, Won Suk)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2(통권 15권), 94~10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 건강이 세계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높은 의료비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노인 건강을 관리하고자 다양한 가정용 의료기기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용 의료기기의 제품이 많아지면서 각기 다른 디자인과 사용 방법으로 인해 노인 사용자에게 사용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가정용 의료기기 중 목 안마기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노인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가사상의 이론을 활용하여 설문 조사와 실험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노인 사용자, 목 안마기, 사용 환경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health problem of the elderly has increasingly become a topic of social concern, among which the relatively poor elderly are faced with high medical costs and lack of health awareness. The emergence of cervical massage device provides a way to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The use of cervical massage device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hysical condition and prevent diseases. However, with the popularity of cervical massage devic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ervical massage devices on the market, with different forms and use methods, which have caused problems for the elderly.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massager, the aged and the environment is studied by using Taoist thought as the theoretical basi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imental analysis. And find the unity of the three. To provide comments for the harmonious design of the product. Furthermore, the design scheme of cervical massage apparatus for the elderly is propo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실증 연구
4. 실험개요 및 분석
5.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관심영역 분석
- 조형성 요소분석을 통한 공공벤치의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상세 정보디자인이 액티브 시니어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 기업이미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Me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을 활용한 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디자인씽킹 역량 강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 붉은여우 캐릭터를 소재로 한 지역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영상그래픽과정 평가유형에 따른 성취도 분석
- 실내조명기구 디자인의 혁신성과 제품구매 의도의 상관성 연구
- 도가사상을 활용한 노인용 목 안마기 사용 편의성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의 분석
- 한·중·일 전통 색채 체계 표준색 특성 비교연구
- OTT 서비스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연구
- 고령자 행위특징에 따른 베리어프리 홈(Barrier-Free Home)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