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의 분석
이용수 191
- 영문명
- Analysis on the Basis of Forgetting Elements for Animation Character: Focus on Disney Anim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조흠 (Zhao, Xin) 김지홍(Kim, Myeong Sa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2(통권 15권), 145~15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1과 2>편에서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에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의 개념을 파악하고 서사와 관련하여 시간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지심리학으로 캐릭터의 새로운 망각 요소를 제안하였다. Edward Thorndike의 기억의 쇠잔이론과 Herman Ebbinghaus의 망각 연구 그리고 Jenkins와 Dallenbach는 간섭이론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망각 요소(forgetting elements)를 자연적 망각(NF)과 의도적 망각(IF)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자연적 망각은 시간 요소(T)와 간섭 요소(If)로 구분해 플롯(P)에 의한 애니메이션의 내적 작용으로 구분하였고, 의도적 망각은 억제 요소(Ih)로 캐릭터의 연기인 동작(A)과 언어(L)로 외적 작용을 하는 기본적 요소 체계를 구성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 최근 개봉한 극장용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시리즈로 제작된 <겨울왕국1,2>를 선정하여 캐릭터의 망각 요소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망각 체계를 통해 캐릭터의 망각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지 아니면 인위적으로 발생하는지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체계성을 획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망각 인지 시스템을 위해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분석하여 새로운 체계로서 확립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d the basic elements of forgetfulness of characters in the Disney animation .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animation and character was overview, and the temporal relationship with narrative was confirmed. In addition, a new elements of forgetting of the character were proposed by cognitive psychology. Edward Thorndike s memory theory, Herman Ebbinghaus s oblivion study, and Jenkins and Dallenbach are based on the theory of interf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classified the animation character s forgetting elements into natural forgetting (NF) and intentional forgetting (IF). In addition, natural forgetting was divided into temporal elements (T) and interfering elements (If) and divided into the internal action of the animation by the plot (P), and intentional forgetting was the inhibition element (Ih) and the character s acting action (A) and we have constructed a basic element system that acts externally in language (L). For the case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 s forgetting elements by selecting produced in series from the recently released Disney animation for the theater, and through this forgetting system, whether the character s forgetting occurs naturally or artificially. This system was obtained to quantitatively compare and analyze whether it occurred. In a future study, various animations will be analyzed and established as a new system for the animation oblivion recognition syste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캐릭터 망각의 기본 요소 구성
4. 사례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관심영역 분석
- 조형성 요소분석을 통한 공공벤치의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상세 정보디자인이 액티브 시니어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 기업이미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Me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을 활용한 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디자인씽킹 역량 강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 붉은여우 캐릭터를 소재로 한 지역관광콘텐츠 개발 방안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영상그래픽과정 평가유형에 따른 성취도 분석
- 실내조명기구 디자인의 혁신성과 제품구매 의도의 상관성 연구
- 도가사상을 활용한 노인용 목 안마기 사용 편의성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본적 망각 요소의 분석
- 한·중·일 전통 색채 체계 표준색 특성 비교연구
- OTT 서비스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연구
- 고령자 행위특징에 따른 베리어프리 홈(Barrier-Free Home)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