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시설 내 폭력범죄예방을 위한 청원경찰법 개정안 등에 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62
- 영문명
- Critical Review of Revised Legislation on the Special Guard Assignment Law to Prevent Violent Crime in Medical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정규(Kim, Jung-Gyu)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8券 第4號, 28~54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의료시설에 폭력행위를 비롯한 강력범죄가 심화일로에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적 인식이 확대되면서 법률 개정을 통한 보완방안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개별법규에는 청원경찰법, 경비업법,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정안들의 개정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개정 법률안이 논의하고 있는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 배치안은 재고가 필요하다. 법률안의 내용은 형평성을 위배하는 것일 수 있다. 의료기관에 특수경비원을 운영하는 방안도 본래 특수경비원의 운영목적을 고려하여 적정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의료시설의 계약경비 시스템을 보완하는 방안을 개정안에 반영해야 한다. 경비근무자에게 범죄예방 임무에 전념할 수 있는 내규를 제정하고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개정 법률안의 내용으로 국가와 지자체가 경비비를 지원하게 된다면 의료시설 경비원의 근무를 명확히 하고 계약경비업체가 변경되어도 경비원의 고용승계가 지속되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셋째, 범죄예방 디자인을 확충하고 평가방식을 통한 인증제를 제도화해야 한다. 비상벨 등의 설치에 있어서는 개별 의료시설 현장의 적합성 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의 사례 등을 분석하여 셉티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Violent crimes are increasing in medical facilities. The incidence of violent crimes in the medical field has been a factor in weakening medical service. As a result, legislative discussions began. Applicable individual legislation includes amendments to the Policeman on the Special Guard Assignment Law, Security Business, and Emergency Medical Act.
First, the police plan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revised law. The text of the bill violates equity. The operation of special guards at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reviewed to mee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operation.
Second, the amendment should cover the weaknesses of contract costs. Security worker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adhered to in order to be committed to crime prevention duties. A plan to support the cost of expenses as required by the legislation under review must be legislated to clarify the work of medical facility guards. Even if the contractor changes, the expertise of the guards should continue to be maintained.
Third, crime prevention design should be expanded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evaluation method. The installation of emergency bell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 suitability of individual medical facilities. Furthermore, the CPTE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U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a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를 위한 일반적 논의
Ⅲ. 개정 법률안의 주요내용과 예산추계
Ⅳ. 개정 법률안에 대한 보완적 논의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