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Conten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15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기혁(Bang, Gi Hyeo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461~4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별로 분석하여 학교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활동 자료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 및 핵심가치 등을 고찰한 문헌 연구와 분석 준거로 선정된 핵심가치 12개를 학교 급 및 학년 군별로 구조화하여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에는 11개 교과에 68차시의 수업 시수가 문화다양성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사회’, ‘도덕’, ‘국어’ 교과 순으로 문화다양성 존중, 공감, 공존, 공감, 공익, 친구 및 가족 관계, 준법, 민주 의사 결정, 공정, 인권, 평화, 문화유산 등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학교에는 8개 교과에 48차시의 수업 시수가 문화다양성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국어’, ‘도덕’, ‘사회’ 교과 순으로 공감과 배려, 의사소통, 존중, 공감, 공존, 공정, 사회 정의, 민주 시민 의식 등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초·중학교의 문화다양성 교육은 관련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도덕’, ‘국어’, ‘사회’ 교과 중심으로 운영하고, 기타 관련된 교과에서도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분석된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토대로 교수·학습 활동 자료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교육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교 교사 대상의 문화다양성 교육 직무 연수 또는 자료 활용 연수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15 by the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sites. For this, 12 core values selected as the criteria for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considering the concept and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re structured by school class and grade group, and the contents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a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68 class hours in 11 subjects we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iddle school, 48 class hours in eight subjects we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included a lot of social justice, democratic citizenship, compliance, democratic decision-making, fairness, human rights, peace, and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operates around the moral , language , and society subjects which contain a lot of related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iversely in other related subjects. To this end, it is based on the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alyzed in this stud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can be developed, and the training and uti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can be carried out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development materia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