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축사별 먼지 저항률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Study of the Tracking Fire Risk by Dust Resistivity of Pen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광묵(Park, Kwang-Muk) 방선배(Bang, Sun-Bae) 김재현(Kim, Jae-Hyun) 박진영(Park, Jin-Y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0 No.6, 99~10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동식물시설 중 전기화재 비율이 높은 우사, 계사, 돈사에서 먼지샘플을 채취하여 증류수에 희석시킨 후 이 물의 저항률을 측정하고, 저항률에 따른 물의 온도변화 및 전류 측정실험, 트래킹 재현실험을 통해 축사별로 먼지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항률 수치는 우사, 계사, 돈사 순으로 돈사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축사별 평균 값 역시 우사, 계사, 돈사 순으로 돈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온도변화 및 전류 측정실험에서는 저항률이 낮을수록 물의 온도변화가 큰 경향을 보였으며, 전류 실효값 역시 높게 나타났다. 트래킹 재현실험에서도 저항률이 낮을수록 트래킹 진전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착화시간이 단축되었다. 실험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축사별 먼지 저항률이 다른 이유를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In animal and plant facilities, dus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attle sheds, pigsties and hen-houses, which have high proportion of electrical fires. The samples were diluted in distilled water and water resistivity was measured. Current measurements and tracking reappearanc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distilled water with dust samples. The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to track the fire risks according to the dust resistivity. The highest value was the dust from cattle sheds followed in order by the dust of pigsties and hen-houses. In experiments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and RMS current, the lower resistivity of water showed a significant trend of temperature and high amperage. In the tracking reappearance experiment with the lower resistivity water, the tracking speed was fast and the ignition time was shortened. This study investigated why each dust resistivity shows different resul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사별 먼지 저항률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염산 취급시설 화학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개방형주차장의 소방설비 개선 제안
-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 휴대폰 충전기 내 트래킹 발생 원인 분석 및 대책
-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옥외저장탱크 누출, 폭발 및 화재사고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성능위주 소화설비 적용을 위한 표준랙크의 화재확산속도 평가
-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수산화알루미늄 내첨에 의한 내염화 특성 향상
- 화재위험성 예측평가분야 교육과정의 전공 적합도에 대한 수요조사
- 국내 배연창 설치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에 대한 노인복지적 고찰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 화재조사 시 증거물의 효율적인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CCD 카메라를 이용한 열화상 실시간 추정과 화재경보
- CFD 모델을 이용한 단순 스프링클러 헤드 주위의 액막 유동해석
- 목재 기반 소재의 연소생성물 노출 실험을 통한 독성요인 분석
-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