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Experimental Study on the Flame Spread Characteristics under Reduced Atmospheric Pressures and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양호동(Yang, Ho-Dong) 권행준(Kwon, Hang-June) 박설현(Park, Seul-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0 No.6, 78~8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발사체의 지상 운영과정이나 발사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재와 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1단 동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연소 환경에서 화염의 전파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1단 동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고산소-저기압 환경을 연소챔버 내에 조성하고 고체연료를 점화시켜 화염 전파율을 측정하였다. 고체연료로는 두께가 0.18 mm인 광섬유를 사용하였다. 주어진 조건에서 산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섬유를 따라 전파하는 화염의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챔버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질 수록 화염의 전파속도는 감소하였다. 압력 증가에 따른 화염전파율의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류열전달계수와 화염전파율의 압력 상관성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압력이 낮아질수록 대류 열손실이 줄어들어 화염전파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characteristics of flame spread under similar atmospheric conditions to those inside the first stage of launch vehicle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to prevent fires and explosions of vehicles during launching operations. To this end, the rate of flame spread on the solid fuel was measured at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s and reduced atmospheric pressures. A 0.18 mm diameter optical fiber was used as a solid fuel.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s can increase the rate of flame spread while increasing the atmospheric pressures to 1 atm can lead to decreases in the rate of flame spread. The increases in the rate of flame spread with pressure is due mainly to reductions in the convective heat loss that are cla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essure dependence on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사별 먼지 저항률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염산 취급시설 화학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개방형주차장의 소방설비 개선 제안
-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 휴대폰 충전기 내 트래킹 발생 원인 분석 및 대책
-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옥외저장탱크 누출, 폭발 및 화재사고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성능위주 소화설비 적용을 위한 표준랙크의 화재확산속도 평가
-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수산화알루미늄 내첨에 의한 내염화 특성 향상
- 화재위험성 예측평가분야 교육과정의 전공 적합도에 대한 수요조사
- 국내 배연창 설치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에 대한 노인복지적 고찰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 화재조사 시 증거물의 효율적인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CCD 카메라를 이용한 열화상 실시간 추정과 화재경보
- CFD 모델을 이용한 단순 스프링클러 헤드 주위의 액막 유동해석
- 목재 기반 소재의 연소생성물 노출 실험을 통한 독성요인 분석
-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