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이용수 69
- 영문명
- Study of a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and Utilizing the Vulnerability-based Disaster Response in Jeju-do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임채현(Lim, Chae-Hyun) 박용이(Park, Yong-Yi)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0 No.6, 64~7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VESTAP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제주도 홍수 취약성은 현재(2010년대)보다 미래(2020년대, 2030년대, 2040년대)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2030년대를 기준으로 이전에는 제주시의 취약성이 서귀포시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이후에는 서귀포시의 취약성이 제주시보다 높게 나타나 제주도 전반에 대한 취약성의 증대와 함께 지형 상 남북 간인 서귀포시와 제주시 간의 취약성 변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essed the flood vulnerability of Jeju-do depending on climate change using VESTA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ood vulnerability of Jeju-do in the future (2020s, 2030s and 2040s) will increase continuously compared to the present time (2010s). In particular, the flood vulnerability of Jeju-si is expected to be higher than Seogwipo-si prior to 2030s. Conversely, the flood vulnerability of Seogwipo-si is expected to be higher than Jeju-si after 2030. Thes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vulnerability between Seogwipo-si and Jeju-si and the growth of flood vulnerability entirely within Jeju-do.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사별 먼지 저항률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염산 취급시설 화학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개방형주차장의 소방설비 개선 제안
-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 휴대폰 충전기 내 트래킹 발생 원인 분석 및 대책
-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옥외저장탱크 누출, 폭발 및 화재사고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성능위주 소화설비 적용을 위한 표준랙크의 화재확산속도 평가
-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수산화알루미늄 내첨에 의한 내염화 특성 향상
- 화재위험성 예측평가분야 교육과정의 전공 적합도에 대한 수요조사
- 국내 배연창 설치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에 대한 노인복지적 고찰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 화재조사 시 증거물의 효율적인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CCD 카메라를 이용한 열화상 실시간 추정과 화재경보
- CFD 모델을 이용한 단순 스프링클러 헤드 주위의 액막 유동해석
- 목재 기반 소재의 연소생성물 노출 실험을 통한 독성요인 분석
-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