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이용수 15
- 영문명
- Effect of a CPR Educational Face Shield on Pathogenic Bacteria Protection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은미(Kim, Eun-Mee) 심규식(Shim, Gyu-Sik) 노상균(Roh, Sang-Gyu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0 No.6, 137~14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은 환자와 구조자간 또는 심폐소생술 교육생들 간의 교차 감염 가능성이 높으나, 감염방지 도구인 페이스 쉴드(face shield)의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에 대한 연구 자료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호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을 비교하여 전염성 질환으로부터 심폐소생술 교육생과 병원 전 구조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쉴드는 국내 심폐소생술 교육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FA shield와 CM shield 2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실제 교육생이 입으로 불어넣은 필터에서 채취한 세균을 대상 필터에 각각 도말한 후 백밸브마스크(Bag valve mask, BVM)로 환기하여 필터의 앞면과 뒷면의 세균 검출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FA Shield는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CM Shield는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안전한 인공호흡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페이스 쉴드의 전반적 성능 평가와 페이스 쉴드의 여과 성능 기준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Cross contamination between a patient and rescuer or CPR trainees can occur when performing mouth to mouth ventilat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filtration efficacy of face shields that are designed to protect people from cross-contamination. This study aims to secure the safety of rescuers from communicable diseases in pre-hospital emergency settings and CPR trainees by verifying the protective effects of face shields. The FA shield and CM Shield were used to verify the safety. The bacteria collected from filters used by CPR trainees were incubated. These incubated bacteria were smeared onto the new filters, and were then blown out through the filters using a Bag Valve Mask (BVM) and the pathogens at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filters were checked. While the FA shield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pathogens, the CM shield did not prevent the transmission of pathogens. Therefore, some of face shields that received national certification are ineffective in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afety of other face shields used domestical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사별 먼지 저항률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염산 취급시설 화학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개방형주차장의 소방설비 개선 제안
-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 휴대폰 충전기 내 트래킹 발생 원인 분석 및 대책
-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옥외저장탱크 누출, 폭발 및 화재사고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성능위주 소화설비 적용을 위한 표준랙크의 화재확산속도 평가
-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수산화알루미늄 내첨에 의한 내염화 특성 향상
- 화재위험성 예측평가분야 교육과정의 전공 적합도에 대한 수요조사
- 국내 배연창 설치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에 대한 노인복지적 고찰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 화재조사 시 증거물의 효율적인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CCD 카메라를 이용한 열화상 실시간 추정과 화재경보
- CFD 모델을 이용한 단순 스프링클러 헤드 주위의 액막 유동해석
- 목재 기반 소재의 연소생성물 노출 실험을 통한 독성요인 분석
-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