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이용수 12
- 영문명
- Estimation of the Flash Point for n-Pentanol + n-Propanol and n-Pentanol + n-Heptanol System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하동명(Ha, Dong-Myeong) 이성진(Lee, Sungji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0 No.6, 31~3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 용액의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인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화점은 라울의 법칙을 이용한 방법과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해 계산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라울의 법칙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절대평균오차는 n-pentanol + n-propanol계인 경우 $1.3^{\circ}C$ 이며 npentanol + n-heptanol계인 경우 $1.3^{\circ}C$ 이었다.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절대평균오차는 n-pentanol + npropanol계인 경우 $0.4^{\circ}C$ 이며 n-pentanol + n-heptanol계인 경우 $0.3^{\circ}C$ 이었다. 절대평균오차에서 알 수 있듯이 다중회귀 분석법에 의한 계산값이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값에 비해 측정값을 잘 모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flash poi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for characterizing the fire and explosion hazard of liquid solutions. In this study, the flash points of two flammable binary mixtures, n-pentanol + n-propanol and n-pentanol + n-heptanol systems were measured using a Seta flash closed cup tester. The flash point was estimated using the methods based on Raoult's law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asured flash poin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predicted flash points. The absolute average errors (AAE) of the results calculated by Raout's law were $1.3^{\circ}C$ and $1.3^{\circ}C$ for the n-pentanol + n-propanol and n-pentanol + n-heptanol mixtures, respectively. The absolute average errors of the results calcul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0.4^{\circ}C$ and $0.3^{\circ}C$ for the n-pentanol + n-propanol and n-pentanol + n-heptanol mixtur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AE,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better than those based on Raoult's law.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사별 먼지 저항률에 따른 트래킹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염산 취급시설 화학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개방형주차장의 소방설비 개선 제안
-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 휴대폰 충전기 내 트래킹 발생 원인 분석 및 대책
- 저기압 고산소 환경에서 화염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옥외저장탱크 누출, 폭발 및 화재사고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성능위주 소화설비 적용을 위한 표준랙크의 화재확산속도 평가
-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수산화알루미늄 내첨에 의한 내염화 특성 향상
- 화재위험성 예측평가분야 교육과정의 전공 적합도에 대한 수요조사
- 국내 배연창 설치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에 대한 노인복지적 고찰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 화재조사 시 증거물의 효율적인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CCD 카메라를 이용한 열화상 실시간 추정과 화재경보
- CFD 모델을 이용한 단순 스프링클러 헤드 주위의 액막 유동해석
- 목재 기반 소재의 연소생성물 노출 실험을 통한 독성요인 분석
-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