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342
- 영문명
- Mediation effect of instructional creativity in the influence of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서의석(Seo Eui Seok) 김미숙(Kim Mi 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2권 제3호, 325~3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교수창의성 교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충남 천안시 지역 어린이집 교사 명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교수창의성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 의매개효과 검증법에 따라서 위계적 회귀 분석 후 사후 통계적 검증을 위해 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교수창의성 교사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교수창의성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기성찰지능은 교수창의성과 교수 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교수창의성은 자기성찰지능이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자기성찰지능과 결합하여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 자기성찰지능과 함께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center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and to identify whether instructional creativity affects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27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Cheonan, Chungnam.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rrel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Moreover, to understand the role of instructional creativit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center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is study has conducted Sobel test for post statistical verification
aft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ursuant to methods for mediation (Baron & Kenny, 197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ll show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structional creativity shows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has confirmed that self-reflection intellig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with instructional creativity increasing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is study implies the necessity of measures to improve instructional creativity as well a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for the results suggest that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combined with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mproves the quality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의 효과와 행정지원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재원 영아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양육지원요구 분석
- 블랜디드 러닝에 기반한 아동수학지도 e-러닝 강좌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신건강이 자녀의 위축 및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