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이용수  35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family of origin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young children s self-regulation: The mediating rol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김진경(Kim Jin Kyung) 이정미(Lee Jung Me)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2권 제3호, 7~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세 세 유아 명과 유아의 어머니 명 그리고 담임교사 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애착표상 및 양육행동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배경변인인 연령 학력 직업 경제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원부모에 대한 애착표상 어머니 양육행동 유아의 자기조절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원부모에 대한 애착표상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칠 때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독립성지향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 자기조절력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변인들과의 관계에서 그 역할을 입증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arent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he self-control cap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o examine whether mother s parenting behavior plays a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39 infants and their mothers (239), as well as 38 homeroom teach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o analyze their attachment expression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 s self-control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 s self-contro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 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income level. In addition,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maternal attachment indices,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the children s self-control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s affectionate rearing behaviors and independence-oriented rearing behaviors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arental attachment expression and the infant’s self-regulation.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 author was able to prove the role of parents in relation to the related variables, thereby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ro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경(Kim Jin Kyung),이정미(Lee Jung Me). (2018).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 (3), 7-34

MLA

김진경(Kim Jin Kyung),이정미(Lee Jung Me).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2018): 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