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381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성영란(Sung Young Ran) 강경희(Kang Kyung Hee) 김용숙(Kim Yong 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2권 제3호, 35~6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정보화 스마트 시대의 경제생활 변화와 개인적 사회적 측면의 합리성을 포함하는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후 이를 토대로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고 현장적용의 적합성 검증 후 전문가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국제화시대에 대비한 지식 기술 태도를 형성하고 공동체의식을 함양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실천하는 경제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한다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은 경제교육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프로그램 활용을 계기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 경제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conomic education program to include changes of economic life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 information-oriented age and personal·social rationality. For this purpose, a census for th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an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experts opinions were collected by three times of the Delphi survey. Then the final draft was organiz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fter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field application. The purpose of finally developed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program was set to learn the knowledge·skill·attitude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promoting communal spirit, and finally forming the basis of civic awareness of economic democracy to practice living with others. Th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is meaningful in helping to plan and operate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I hope that this program will stimulat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hope that economic education for infants will be activated on the site of nurser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의 효과와 행정지원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재원 영아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양육지원요구 분석
- 블랜디드 러닝에 기반한 아동수학지도 e-러닝 강좌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신건강이 자녀의 위축 및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