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의 효과와 행정지원 방안 연구
이용수 5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At-Risk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지효(Lee Ji Hyo) 김영팔(Kim Young Pal) 황영범(Hwang Yeong Beom) 고재욱(Ko Jea U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2권 제3호, 173~20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용적 보육관에 입각하여 장애위험영유아의 조기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장애위험영유아를 보육기관을 통해 조기선별하고 조기중재를 제공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를 위해 구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251명을 대상으로 인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 지원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조사와 조기중재 효과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위험영유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위험영유아를 조기선별하는 과정에서 장애진단가능급이 5.8%, 장애위험급이 8.9%, 부모 및 보육교사 상담급이 2.9%로 선별되었다 셋째 장애위험영유아에게 어린이집 내에서 치료지원을 제공하니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결과에 따른 행정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위험영유아도 사회적서비스지원 대상이 될 수 있는 법제화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아 발생률 감소를 위하여 조기선별과 조기중재의 과정과 방법을 지속화 할 수 있는 체계화된 행정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위험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통합보육 코디네이터가 필요하다 넷째 장애위험영유아의 발달 및 기능향상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내에서 관련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영유아 발달의 정상화를 위한 부모의 의무와 책임을 정책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researched in the administrative of early intervening system for young children at risk. I early screened children-at-risk in day care centers and provided early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51 day care center teachers in E District were surveyed. And than, I conducted a single subject test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survey and singl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at-risk was generally high. Second, early screening showed that 5.8% of diagnosed as having a disability, 8.9% of the at-risk group, and 2.9% of the counseling group. Third, young children-at-risk, early intervention in day care centers was effective in language development.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First, young children-at-risk also need to be explicit in the law so that they can receive national support. Second, a systematic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Third, an integrated education coordinator is needed to support young children-at-risk. Fourth,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within day care centers. Fifth, to normaliz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at-risk, the state must administer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par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의 효과와 행정지원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재원 영아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양육지원요구 분석
- 블랜디드 러닝에 기반한 아동수학지도 e-러닝 강좌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신건강이 자녀의 위축 및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