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장애 아동의 텍스트 처리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218

영문명
A Meta-Analysis of Eye-Tracking Studies on Text Processing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정아(Jung A Kim) 오세진(Se Jin Oh) 최은정(Eunjung Choi) 김영태(Young Tae Kim)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597~null쪽, 전체 -59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학업능력이 떨어지거나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읽기 평가를 통해 장애아동을 조기에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선추적 과제는 읽기 평가에 유용한 도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텍스트 처리 수준에서 읽기장애 아동을 변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시선추적 과제의 어떤 변수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9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ScienceDirect, RISS, DBpia, Kyobo Scholar)를 통해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여 총 12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Hedges’ g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시선추적 과제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읽기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유의하게 나타낸 시선추적 과제의 측정치 들은 고정 수, 고정 지속시간, 도약 수, 회귀 수 등이었다. 그러나 도약 진폭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주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텍스트 처리에 대한 시선추적 과제가 읽기장애 집단을 변별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앞으로 읽기장애를 조기에 선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D) are at higher risk of becoming scholastic underachievers and having behavioral problems than typical reading children.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screen for reading disabilities early through overall reading assessments. It is known that eye-tracking tasks are useful for assessing reading ability. This paper reviews studies of eye-tracking and investigates if children with reading problems can be differentiated through eye-tracking tasks. Methods: Twelve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nine electronic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ScienceDirect, RISS, DBpia, Kyobo Scholar).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was done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Hedges’ g.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between the R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variables that led to group differences were number of fixations, fixation duration, number of saccades, and number of regressi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amplitude of saccad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ye-tracking tasks of text processing are useful tools for discriminating the RD group from the control group and might be used for assessing reading disabilit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아(Jung A Kim),오세진(Se Jin Oh),최은정(Eunjung Choi),김영태(Young Tae Kim),성지은(Jee Eun Sung). (2018).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장애 아동의 텍스트 처리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3), 597-null

MLA

김정아(Jung A Kim),오세진(Se Jin Oh),최은정(Eunjung Choi),김영태(Young Tae Kim),성지은(Jee Eun Sung).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장애 아동의 텍스트 처리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2018): 597-null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