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이용수  623

영문명
Relationship among Executive Functions, Vocabulary and Reading Skill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nd without Poor Vocabular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유지원(Jeewon Yoo)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570~583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다양한 언어장애 집단의 집행기능과 언어능력과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으나, 어휘지체 아동의 집행기능과 언어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일반아동과 어휘취약 아동의 집행기능을 비교하고 집행기능의 3가지 구성요소와 읽기 및 어휘를 포함한 언어능력과의 연결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7-9세의 어휘취약 아동(15명)과 일반아동(20 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억제능력 전환능력을 포함한 언어적/비언어적 집행기능 과제를 실시하고, 규준화된 어휘와 읽기 과제를 시행 하였다. 결과: 일반아동은 digit n-back 과제에서 어휘취약 아동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나머지 집행기능 과제에서는 두 그룹이 비슷한 수행능력을 보였다. 일반아동은 언어적 작업기억과 어휘 및 읽기능력 사이에 그리고 전환능력과 어휘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 계가 관찰된 반면, 어휘지체 아동들에게서는 이러한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 결과는 두 그룹 사이에 집행기능과 언어능력 사이에 다른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즉, 일반아동의 경우에만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와 같은 언어능력 사이에 긴밀한 연결관계를 보여주며, 어휘취약 아동의 경우 언어가 관련된 능력에 집행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executive function (EF) skills betwee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nd children with poor vocabulary (PV), and to explore how and what kinds of connections exist between the three components of the EF system and language abilities, including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ability, in two groups.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TD and 15 children with PV were assessed via tests of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in both verbal and nonverbal modalities, and standardized vocabulary and reading tests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Comparisons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both groups performed comparably on all EF tasks except for the digit n-back task, with the TD group having a higher accuracy than the PV group.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bilities (reading and vocabulary knowledge) and verbal working memory as well as between vocabulary knowledge and shifting for the TD group, whereas no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ies and EF was found in the PV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EF and language abilities in two groups, while showing close links between language abilities and EF only for the TD group. This suggests that EF systems may not be efficiently involved in language related abilities in children with PV.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AND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원(Jeewon Yoo),임동선(Dongsun Yim). (2018).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3), 570-583

MLA

유지원(Jeewon Yoo),임동선(Dongsun Yim).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2018): 570-5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