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극복을 향한 내러티브
이용수 615
- 영문명
- A Narrative toward Overcoming Stutter in Adults Who Stutt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황지은(Ji-Eun Hwang) 황민지(Min-Ji Hwang) 이은주(Eun-Ju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740~754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극복을 향한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스스로 말을 더듬는다고 생각 하는 말더듬 성인 5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경험을 알아보는 데 적합한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차례의 개별면담을 통해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동의한 참여자에 한하여 자신의 경험과 관련된 다양한 질적 자료원을 참고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간적 흐름에 따라 3개의 큰 주제와 4개의 작은 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큰주제는 ‘나의 일부, 말더듬’, ‘말더듬이라는 걸림돌, 혼자 넘기’, ‘함께 손잡고 걸림돌 넘기’였으며, 작은 주제는 ‘생각하기’, ‘행동하기’, ‘주 변에서 도움 얻기’, ‘전문가 찾아 나서기’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 5명의 말더듬 극복을 향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말더듬 성인이 말더듬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overcoming stuttering in adults who stutte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onducted a narrative study on 5 adults with stuttering who think of themselves as stutterers.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 was divided into two sessions. In the first session, a life graph was used to make a visual reference to the life of the self, and open-ended questions were used to talk freely. In addition, the researchers referred to various qualitative data sources related to their experience only for the participants who consen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themes and four subthemes were drawn. The three themes were ‘Stuttering is a part of me’, ‘Stuttering is an obstacle that I must overcome alone’, ‘Overcoming the stumbling block hand in hand with others’, and the four subthemes are ‘Thinking’, and ‘Action’, ‘Finding help around me’, and ‘Seeking the help of a professional’.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interviewed 5 adults who stutter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overcoming stutte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overcoming stuttering in adul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담화이해와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과의 상관
- 상호작용 맥락이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책읽기와 놀이를 중심으로
- 외이도에서 비음과 유음 포먼트 전이
- 오리진-폰 분석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성인의 개별적인 다면적 변화
-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 한국판 구개열 말 평가 개발 및 신뢰도 검사
- 이중과제 패러다임에서의 듣기 조건에 따른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판단하기 및 듣기 노력
-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장애 아동의 텍스트 처리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 증폭장치 사용 난청 청년의 삶의 질
- 공기역학적 평가에서 음성 효율성 프로토콜의 반복 측정치 비교
- 발달성 읽기장애에 대한 인지언어적 중재 접근법: 예비 연구
- 파킨슨병 환자의 의미적 군집화 특성 및 관련 기제
- 5세와 6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단기기억과 음운작업기억 능력
-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극복을 향한 내러티브
- 영유아 시기의 미디어 기기 노출이 이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코호트 연구
- 실어증 유무에 따른 뇌경색 환자의 읽기와 쓰기 특성
- 수여동사구문의 통사적 중의성 및 어순전형성에 따른 노년층 대상 ERP 성분 분석
- 상호작용적 책읽기 상황에서 양육자의 질문유형에 따른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정·오반응 비교 연구
- 가중평균음운길이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