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성 읽기장애에 대한 인지언어적 중재 접근법: 예비 연구
이용수 380
- 영문명
- A Novel Cognitive-Linguistic Approach to Addressing Developmental Reading Disorders: A Pilot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백은진(Eun Jin Paek) Laura L. Murray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609~6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작업 기억 훈련은 발달성 난독증을 가진 자들의 읽기능력 증진에 유익한 것으로 밝혀져 왔다. 그러나 언어 자극물을 작업기억 훈련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읽기능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각 개인의 언어 및 인지적 능력이 중재 효과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 자극물을 사용하는 새로운 인지언어적 중재 접근법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각 1명의 청소년과 성인 남성이 단일대상연구 실험에 참가하였다. 피험자는 전략 훈련에 더해, 6가지의 구어 작업기억 과제를 사용하여 중재를 받았다. 중재 전후의 언어 및 인지능력과 일반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피험자들에게 중재 전, 중재 직후, 그리고 중재 후 6주 뒤 일련의 공식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모든 피험자들이 훈련된 과제에서 수행력 향상을 보였으나, 피험자에 따라 각기 다른 양식을 보였다. 일반화 및 유지 효과 또한 관찰되었는데, 해독능력, 유창성, 그리고 읽기이해능력이 증진되었고, 주관적 효용 또한 보고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인지언어적 중재법이 발달성 난독증 증상에 효과가 있음을 뒷받 침하며, 발달성 읽기장애를 지닌 청소년 및 성인의 근거기반 중재를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efit from working memory (WM) training to improve reading skills. The effect of WM training using linguistic stimuli to additionally target reading processes, however, has not been explored yet. It is also unclear whether different cognitive-linguistic profiles lead to different treatment improvement and transfer patterns. Thu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a novel cognitive-linguistic treatment that utilizes word- and sentence-level stimuli with irregular spellings to address developmental reading disorders. Methods: One adolescent and one adult with developmental dyslexia participated and were trained with six types of basic and complex verbal WM tasks combined with strategy training. A singlecase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to prob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treatment protocol over time. To delineate baseline cognitive-linguistic profiles and transfer effects, a battery of formal tests and probe tasks was administered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6-week follow-up. Results: Both participant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on the training tasks, but across participants different patterns of improvements were observed.
Transfer effects were observed in terms of deco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perceived benefits were reported. These gains were maintained at the 6-week followup.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linguistic intervention yields beneficial effects for developmental dyslexia and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 of clinicians who work with adolesc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reading disorders.
목차
METHODS
RESULTS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담화이해와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과의 상관
- 상호작용 맥락이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책읽기와 놀이를 중심으로
- 외이도에서 비음과 유음 포먼트 전이
- 오리진-폰 분석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성인의 개별적인 다면적 변화
-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 한국판 구개열 말 평가 개발 및 신뢰도 검사
- 이중과제 패러다임에서의 듣기 조건에 따른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판단하기 및 듣기 노력
-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장애 아동의 텍스트 처리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 증폭장치 사용 난청 청년의 삶의 질
- 공기역학적 평가에서 음성 효율성 프로토콜의 반복 측정치 비교
- 발달성 읽기장애에 대한 인지언어적 중재 접근법: 예비 연구
- 파킨슨병 환자의 의미적 군집화 특성 및 관련 기제
- 5세와 6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단기기억과 음운작업기억 능력
-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극복을 향한 내러티브
- 영유아 시기의 미디어 기기 노출이 이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코호트 연구
- 실어증 유무에 따른 뇌경색 환자의 읽기와 쓰기 특성
- 수여동사구문의 통사적 중의성 및 어순전형성에 따른 노년층 대상 ERP 성분 분석
- 상호작용적 책읽기 상황에서 양육자의 질문유형에 따른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정·오반응 비교 연구
- 가중평균음운길이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