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중과제 패러다임에서의 듣기 조건에 따른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판단하기 및 듣기 노력
이용수 178
- 영문명
- The Effects of Listening Conditions on Sentence Judgement and Listening Effort in School-Aged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in a Dual-Task Paradigm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영미(Youngmee Lee) 심현섭(Hyun Sub S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3, 764~77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중과제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듣기 조건에 따른 양측 인공와우와이식 아동, 일측 인공와우이식 아동, 정상청력 아동의 청각언어처리능력과 듣기 노력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생활연령이 7-14세인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17명), 일측 인공와우이식 아동(17명), 정상청력 아동(17명)을 대상으로 방음실에서 조용한 조건과 소음 조건에서 개별적으로 이중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는 이중과제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개발하였으며, 문장 판단하기를 일차과제로, 숫자 판단하기를 이차과제로 구성하 였다. 결과: 문장 판단하기의 정확도는 소음 조건보다 조용한 조건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정상청력 아동,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 일측 인공와우이식 아동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문장 판단하기의 반응시간은 조용한 조건보다 소음 조건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일측 인공와우이식 아동,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 정상청력 아동 순으로 유의하게 길었다. 숫자 판단하기의 반응시간도 조용한 조건보다 소음 조건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일측과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반응시간이 정상청력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언어처리능력과 듣기 노력이 정상청력 아동에 비해서는 낮지만, 동일한 듣기 노력을 사용하더라도 일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에 비해 문장 수준의 청각언어정보를 더 정확하게 처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언어 발달을 위한 청각언어처리 측면에서 양측 인공와우이식이 청각장애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on auditory-language processing abilities and listening effort for deaf children in quiet and noise conditions using a dual-task paradigm. Methods: Seventeen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BiCI group), 17 children with unilateral cochlear implants (UniCI group), and 17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NH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ranged from 7 to 14 years at the testing. Dual tasks involved judging the semantic plausibility of auditorily presented sentences under quiet and noise conditions (primary task) and responding in a digit judgment task in which two digits were visually presented on the screen (secondary task). Results: On the dual task, all children performed better when tested in quiet rather than in noise. On the sentence judgement task, BiCI group performed with higher accuracy and faster processing speed than UniCI group with and without noise. On the digit task, NH group showed significantly quicker response times than BiCI and UniCI groups.
Conclusion: BiCI group processed sentence semantically more accurately and faster than UniCI group with the same listening eff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is more beneficial than un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in deaf children in improving auditory-language processing abilit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담화이해와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과의 상관
- 상호작용 맥락이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책읽기와 놀이를 중심으로
- 외이도에서 비음과 유음 포먼트 전이
- 오리진-폰 분석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성인의 개별적인 다면적 변화
-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 한국판 구개열 말 평가 개발 및 신뢰도 검사
- 이중과제 패러다임에서의 듣기 조건에 따른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장 판단하기 및 듣기 노력
-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장애 아동의 텍스트 처리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 증폭장치 사용 난청 청년의 삶의 질
- 공기역학적 평가에서 음성 효율성 프로토콜의 반복 측정치 비교
- 발달성 읽기장애에 대한 인지언어적 중재 접근법: 예비 연구
- 파킨슨병 환자의 의미적 군집화 특성 및 관련 기제
- 5세와 6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단기기억과 음운작업기억 능력
-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극복을 향한 내러티브
- 영유아 시기의 미디어 기기 노출이 이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코호트 연구
- 실어증 유무에 따른 뇌경색 환자의 읽기와 쓰기 특성
- 수여동사구문의 통사적 중의성 및 어순전형성에 따른 노년층 대상 ERP 성분 분석
- 상호작용적 책읽기 상황에서 양육자의 질문유형에 따른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정·오반응 비교 연구
- 가중평균음운길이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