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air Embroidery Art with Re-creation of Sin Saimdang s ChoChoongDo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민주(Min-Ju Kim) 김진숙(Jin-So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9권 제3호, 275~28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2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dern art pursues creative and unique design through exchange and collaboration. In diverse fields such as traditional culture,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it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art genre with blurred boundaries. So far, hair art has mostly meant making a flower using hair or creating a work of art with powdered hair. In this study, Shin Saimdang’s chochungdo (plant-insect painting) was reproduced by applying traditional embroidery to conventional hairstyling techniques.
This design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ressed plane art and created a practical handicraft work by using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n hairstyling. Her paintings on 8 folds were represented for hairstyling.
The painting (36㎝ in length, 48.5㎝ in width) was reduced by about 20% (29㎝ in width, 39㎝ in width) and embroidered using diverse techniques. In addition, Shin Saimdang’s cursive writing was added on the back. In other words, the front had an 8-fold screen while the back was designed with a cursive hand screen for practical use in daily lives. This study was approached with sincerity to broaden the sphere of new art, while the use of embroidery opened the possibility of a new art form, the ‘hair embroidery art’. These art pieces could be understood as a new art genre such as a cultural tourist product or craft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hair embroidery art as a creative art genre in cosmetology and art into which further studies can b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작품제작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9권 3호 목차
- Q 방법을 활용한 네일 미용 서비스 소비자 유형
- 바이오미미크리(Biomimicry) 생명체모방 레벨 기반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분석
- 헤어미용 종사자의 스트레스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남자 대학생의 나르시시즘과 외모관심도가 화장태도 및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 뽕나무(Morus alba) 및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 분석
- IPA 분석을 활용한 피부미용사 직무능력수준의 비교연구
- 자수기법을 활용한 초충도 헤어아트연구
- 고려시대 단청문양을 활용한 창작헤어바이나이트 디자인 연구
- 고령사회에 따른 미용복지 필요성 연구
- 20-30대 성인 여성의 헤어관여도가 헤어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뉴시니어의 데카당스 파티스타일 연구
- 피부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연구
-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뷰티아트 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와 에도시대 기생의 화장 문화에 나타난 조형성 분석
- 동심화의 작품과 한지를 이용한 아트마스크 연구
- 헤어숍 할인혜택이 고객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브랜드의 립스틱 메이크업 제품 특성에 관한 분석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헤어디자이너 이미지에 대한 시장세분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