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PA 분석을 활용한 피부미용사 직무능력수준의 비교연구
이용수 198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Job Competencies of Aesthetician Using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Group Differences related to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신희(Shin-Hee Kim) 정연자(Yeon-Ja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9권 제3호, 65~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components of job competency for aesthetician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SERVQUAL model and to compare the level between the NCS completed group and non-completed group using a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competencies of aesthetician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such as expertise including professional attitude, professional knowledge, procedural technique, and skillfulness, reliability and communi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t-test result, a professional attitude, procedural technique, reliability, and understanding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addition, the mean value of the non-completed group was higher compared to the completed group. Third, the results of the IPA showed that reliability was a common factor of both groups. which was included in Quadrant Ⅰ(keep up the good work). Moreover, in the NCS completed group, factors on the side of interaction were mainly distributed in Quadrant Ⅰ and Ⅱ, whereas in the non-completed group, factors related to technological capabiliti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both sections. These results can be provided as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for practitioners in order to make the appropriate decis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30대 성인 여성의 헤어관여도가 헤어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뉴시니어의 데카당스 파티스타일 연구
- 피부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연구
-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 분석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9권 3호 목차
- IPA 분석을 활용한 피부미용사 직무능력수준의 비교연구
- 자수기법을 활용한 초충도 헤어아트연구
- 고려시대 단청문양을 활용한 창작헤어바이나이트 디자인 연구
- 바이오미미크리(Biomimicry) 생명체모방 레벨 기반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분석
- 고령사회에 따른 미용복지 필요성 연구
- 동심화의 작품과 한지를 이용한 아트마스크 연구
- 남자 대학생의 나르시시즘과 외모관심도가 화장태도 및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 뽕나무(Morus alba) 및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 Q 방법을 활용한 네일 미용 서비스 소비자 유형
-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 종사자의 스트레스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뷰티아트 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와 에도시대 기생의 화장 문화에 나타난 조형성 분석
- 헤어숍 할인혜택이 고객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브랜드의 립스틱 메이크업 제품 특성에 관한 분석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헤어디자이너 이미지에 대한 시장세분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