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the Duplications of Curriculum Content between Practical Arts and Other Subjec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세경(Jeon S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8권 제3호, 115~1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light of the policy for the new curriculum reform, the scrutiny on the duplications of curriculum contents between Practical Arts and other subjects must be a meaningful attempt to reduce the academic burde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attain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possible duplicities of curriculum contents between Practical Arts and other subjects. Curriculum contents in Practical Arts related to family, home, consumption, work in daily life were duplicated with those in Ethics and Social Studies. Such topics as plants, animals, electricity, electronics in Practical Arts were duplicated with those in Science and the topic of nutrition in Practical Arts were duplicated with that in Physical Education. The topics of 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 in Practical Arts were duplicated with those in several subjects and the topic of computer in Practical Arts were duplicated with that in Computer and Life teaching in overall grades. Only the topics of cooking, clothing, and wood working in Practical Arts were not duplicated with any other subjects.
The problems of duplication in curriculum contents between subjects should be solved through the reconcili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the academic burde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attain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is straightening process, the identity and distinctive character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be better clarifi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교실 원예 프로그램이 아동의 인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실과 교육에서의 e-Learning 적용 전략
- 초등학생 진로발달 요인구조 분석
- 환경 오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KAP 수준
- 초등학교 실과교과서 평가 및 미래 발전방안
- 경상북도 초등학교 교사의 정보 기술 능력과 정보 기술의 활용도
- 지식재산 교육 모형의 이론 탐색과 실천 전략
- 초등학교 실과 기술 학습 배경의 성차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용품 구매행동과 관련 변인
-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 통합교육을 지향한 실과교육과정의 구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제고와 창의력 증진을 위한 실과 관련, 분야 경진대회 개최에 관한 연구
- 미래지향적 실과교육을 위한 교과 컨텐츠 구성방안
- 실과 수업에서의 마인드 맵 적용 방안과 식생활 단원에서의 마인드맵 적용 효과
- 실과 가정영역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전략
- 투고규정 외
- 실과를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과정 내용 중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