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reflected on education in North Korea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안승대(An, Seung-Dae)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66집, 315~35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북한교육은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위로부터의 부분적 개혁을 실현해왔다는 점에서 수동적 혁명의 특징을 지닌다. 북한교육은 초기의 사회주의 교육, 그리고 과도기의 교육을 거쳐 주체교육으로 변화해왔다. 북한교육은 이 과정에서 半수동적 혁명, 과도기적 수동적 혁명, 주체사상의 항상성과 변용성으로서의 주체교육기의 수동적 혁명을 거쳐 왔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교육은 체제유지를 위한 부분적 개혁으로서의 수동적 혁명의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그 특징은 부드럽고 온건한 방식이었다. 둘째, 북한교육의 수동적 혁명은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되어왔다는 점에서 장기성과 지속성을 지니며, 체제유지를 위한 정교한 역할을 수행해왔다는 점에서 정교성을 지닌다. 셋째, 남한의 수동적 혁명의 특징이 광기의 순간과 수동적 혁명의 지속이었다면, 북한 교육은 장기성, 지속성을 지닌다고 할 때, 통일과 통일교육은 이 둘의 절충과 접점모색을 통해 그 가능성을 찾아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reflected on education in North Korea through the theory of Gramsci. The passive revolution it means that a revolution without revolution, sustains a dominant system as the particular reform from above, while, excludes demands form bottom.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changed from socialism education in earlier ages, to a period of transition, to Ju-Che education.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a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in terms of justifying change, succession, hereditary of the power and taming people who are obedient to Soo-Ryo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a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and has to change from passive to anti-passive revolution. Second,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is needed to changing aims at anti-passive revolution, democratic revolution, and educ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egemony.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사회의 수동적 혁명과 시기구분
Ⅲ. 북한교육의 시기별 수동적 혁명의 특징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心經發揮』를 통해 본 鄭逑의 心學
-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 미국학계의 ‘ 한국 현대사 ’ 연구에서 IPR 자료의 문헌학적 중요성
- 慈仁縣의 역사와 경산자인단오제 계승 주체의 변모
- 경산자인단오제의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의의
- 明 · 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 『新編牛醫方』연구
- 새 자료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의 특징과 한자음 비교
- 한국명상(瞑想)과 영가무도(詠歌舞蹈)
- 임진왜란시 소년 柳袗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 19세기 기록으로 살펴본 女圓舞와 한장군 신앙
-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 ‘ 안용복 ’ 역사적 사실과 ‘ 안용복 ’ 소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