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의의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in ‘MYEONG-SIM-BO-GAM’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권상우(Kwon, Sang-Woo)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66집, 187~2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논문에서는 『명심보감』의 도덕적 의미를 유학사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유학은 일반적으로 수신을 전문적으로 하는 엘리트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도덕 이론 체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명심보감』은 서민을 위한 수신서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명심보감』에서 도덕교육은 일반 유학 서적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성리학을 비롯한 일반 유학 서적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적인 의지를 강조하면서 도덕적인 행위 자체를 근본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명심보감』에서는 서민들이 도덕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福과 연관시키고 있다. 그래서 『명심보감』은 일상적인 현대인이 도덕적인 삶에 살 수 있는 지침서가 될 수도 있음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moral significance of ‘MYEONG-SIM-BO-GAM (an ancient collection of aphorism)’ in terms of Confucian history. Confucianism is usually known as a system of moral theory intended for the elite in pursuit of disciplining themselves. Contrarily, ‘MYEONG-SIM-BO-GAM’ is known to be an educational book for commoners. For that reason, the moral education in the book clearly differs from usual Confucian books. Ordinarily, Confucianism, including Neo-Confucianism, lays stress on learners’ autonomous will and basically aims at moral acts. On the contrary, ‘MYEONG-SIM-BO-GAM’ induces commoners to live moral lives by teaching that moral acts lead to good fortune. At this, this study dealt with moral education in the book by associating morality with good fortune. In addition, it addressed whether the book could be a guide to morality for our contemporaries.
목차
Ⅰ.『명심보감』과 도덕교육
Ⅱ.『명심보감』의 저자 문제
Ⅲ.『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특징
Ⅳ.『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방법: 德福一致
Ⅴ.『명심보감』의 시대적 의의와 과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心經發揮』를 통해 본 鄭逑의 心學
-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 미국학계의 ‘ 한국 현대사 ’ 연구에서 IPR 자료의 문헌학적 중요성
- 慈仁縣의 역사와 경산자인단오제 계승 주체의 변모
- 경산자인단오제의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의의
- 明 · 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 『新編牛醫方』연구
- 새 자료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의 특징과 한자음 비교
- 한국명상(瞑想)과 영가무도(詠歌舞蹈)
- 임진왜란시 소년 柳袗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 19세기 기록으로 살펴본 女圓舞와 한장군 신앙
-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 ‘ 안용복 ’ 역사적 사실과 ‘ 안용복 ’ 소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