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이용수 66
- 영문명
- Exploration of Changes in Transmission Environment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 Focusing on the enforce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은정(Lee, Eun Jeong)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66집, 71~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2016년부터 시행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이하 무형문화재법)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법 시행에 따른 국가무형문화재 제44호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의 변화에 대해 전망을 해보고자 하였다. ‘경산자인단오제’는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어 자인 지역민을 중심으로 전승해 온지 올해로 47년째가 된다.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47년의 역사 동안 전승환경에 있어서 두 차례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첫번째는 중요무형문화재 ‘한장군 놀이’에서 ‘경산자인단오제’로 명칭이 변경된 것이다. 두 번째는 무형문화재를 규정하던 법이 문화재보호법(1962년 제정)에서 무형문화재법(2015년 제정)으로 변화한 것이다. 전 지구적 차원에서 규정되고 있는 무형유산정책의 변화의 흐름을 수용하여 ‘원형’개념이 새로운 입법을 통해 폐기되고 ‘전형’개념이 등장하면서 무형문화재 전승환경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 시행 이후 55년 만에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지점에 관심을 가지고 무형문화재법 시행에 따른 전승환경의 변화에 주목하여 경산자인단오제의 전승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Act on the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 which was enacted in 2016, and to forecast the expected changes in transmission environment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44.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44 in 1971, the ‘Gyeongsanjain Dano Festival’ celebrates its 47th anniversary this year. Since its designation as one of the maj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has undergone two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transmission environment for the past 47 years. First, the nam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from ‘Hanjanggun Nori’ to ‘Gyeongsanjain Dano Festival’. Second, the governing law for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enacted in 1962)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enacted in 2015). With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essential form’ while discarding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as part of effort to embrace the universal change in policies dealing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faced with structural changes in 55 years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62.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keeps a close watch on this unplanned event and intend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are expected in terms of transmission environment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with focus on changes in transmission environment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무형문화재로서 경산자인단오제의 성격과 위상
Ⅲ. 무형문화재법 시행에 따른 전승환경 변화
Ⅳ. 전망에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心經發揮』를 통해 본 鄭逑의 心學
-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 미국학계의 ‘ 한국 현대사 ’ 연구에서 IPR 자료의 문헌학적 중요성
- 慈仁縣의 역사와 경산자인단오제 계승 주체의 변모
- 경산자인단오제의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의의
- 明 · 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 『新編牛醫方』연구
- 새 자료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의 특징과 한자음 비교
- 한국명상(瞑想)과 영가무도(詠歌舞蹈)
- 임진왜란시 소년 柳袗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 19세기 기록으로 살펴본 女圓舞와 한장군 신앙
-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 ‘ 안용복 ’ 역사적 사실과 ‘ 안용복 ’ 소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