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학계의 ‘ 한국 현대사 ’ 연구에서 IPR 자료의 문헌학적 중요성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Bibliographical Significance of IPR Materials for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y” in American Scholarship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진웅(Kim Jinwung) 오영인(Oh Young In)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66집, 253~28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을 다룬 IPR 자료들이 미국 학계에서 한국 현대사의 후속 연구에 대해 갖는 문헌학적 의의(그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중요한가)를 분석했다. 본문에서 논의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PR은 1925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하면서 아시아 · 태평양 지역에 대한 학술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벌였다. 이런 가운데, IPR은 비록 그 수는 적지만 18개의 한국과 관련된 자료들을 발간했다. 그리고 IPR 미국이사회 기관지인 Far Eastern Survey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관해 시사성 강한 기사들을 게재했는데, 여기에는 30개의 한국 관계 기사들도 포함되어 있다. IPR 시대는 한 마디로 한국학 연구 불모의 시대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이들 총 48개의 한국 관계 자료들은 모두 한국학의 선구 연구들이다. 이들 IPR 자료들은 선험 연구들로서 미국학계에서 한국 현대사 연구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에 대한 그 문헌학적 의의는 방대하다 하겠다. 특히, 이들 중 일부 자료는 후속 연구들의 평가에서 보이듯이 한국 현대사 연구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자료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과 관련된 IPR 자료들 가운데 한국 현대사의 후속 연구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들은 그라즈단제프의 『현대 한국』, 맥큔의『오늘의 한국』, 이훈구의 『한국에서의 토지 이용과 농촌 경제』이다. 이들은 후속 연구에서 많이 인용되는 중요한 자료들로 IPR 자료들의 ‘Big Three’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미국 학계에서도 원자료(사료)들의 잇단 공개와 연구방법의 발달로 한국 현대사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다. 따라서 그 연구에서 IPR 자료들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PR 자료들은 초창기 한국학 자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에 그 토대를 마련했고 그 토대 위에서 후속 연구들이 원자료를 발굴하고 연구방법을 개선해 나갈 수 있었다는 점에서, 다시 말해서 후속 연구의 발달을 가능하게 한 선험 연구라는 점에서 여전히 한국 현대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In what ways and how much have IPR materials been significant for the subsequent American scholarship in its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y” from the bibliographical standpoint? The main observat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IPR) had been in existence between 1925 and 1961, actively engaging in scholarly activity pursuing research and publishing books and pamphlets on many aspects of the Asia-Pacific region. During this period, the IPR published 18 Korea-related research materials, and the Far Eastern Survey, the organ of IPR s American Council, published 30 Korea-related articles. These 48 IPR materials have all been considered the pioneer works in Korean study, including history and geography, in American scholarship. From the bibliographical perspective, these IPR works opened the way for the subsequent American scholarship to further pursue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y.” Also, some specific books, such as Andrew J. Grajdanzev`s Modern Korea, George M. McCune`s Korea Today, and Hoon K. Lee`s Land Utilization and Rural Economy in Korea, have been regarded as indispensable for the following scholarship, American as well as Western, in its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y. All in all, these Korea-related IPR works, including IPR publications and Far Eastern Survey articles, have been held to be important for the advancement of American scholarship on modern Korean history.
목차
I. 머리말
II. IPR에서의 ‘한국’의 지위와 그 함의
III. ‘한국 현대사’ 관련 자료들의 내용
IV. “한국 현대사” 관련 IPR 자료들의 인용도와 그 함의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心經發揮』를 통해 본 鄭逑의 心學
-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 미국학계의 ‘ 한국 현대사 ’ 연구에서 IPR 자료의 문헌학적 중요성
- 慈仁縣의 역사와 경산자인단오제 계승 주체의 변모
- 경산자인단오제의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의의
- 明 · 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 『新編牛醫方』연구
- 새 자료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의 특징과 한자음 비교
- 한국명상(瞑想)과 영가무도(詠歌舞蹈)
- 임진왜란시 소년 柳袗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 19세기 기록으로 살펴본 女圓舞와 한장군 신앙
-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 ‘ 안용복 ’ 역사적 사실과 ‘ 안용복 ’ 소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