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산자인단오제의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86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창언(Lee, Chang-Un)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66집, 101~1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산자인단오제는 강릉단오제, 영산단오제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전승되는 대표적인 읍치제의적 성격의 단오제이다. 읍치제의적 성격의 단오제는 유교적 방식의 제의와 단오굿 그리고 탈놀이를 비롯한 개인 및 집단적 놀이가 망라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 장군설화를 바탕으로 한묘제, 여원무, 팔광대, 큰굿, 호장행렬 등 제의와 다양한 연행으로 구성된 경산자인단오제는 지역성과 예술성을 간직한 국가무형문화재로 관리되어 왔다. 경산자인단오제는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지만 바람직한 보전을 위한 관심과 노력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강릉단오제의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노력과 실천이 시급한 실정이다. 경산자인단오제의 바람직한 보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고 시급히 진행해야 할 과제는 경산자인단오제의 온전한 복원을 위한 고증이다. 이를 위해 전수조사방식으로 가능한 많은 자료와 제보자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알려진 자료 이외의 경산자인단오제에 관한 고문서를 포함한 모든 자료와 일제강점기의 자인지역을 기억하는 일본인을 포함한 가능한 많은 제보자를 확보하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둘째, 전승기반의 체계적이고 대폭적인 확충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 복원, 전승 및 행사 등의 분야를 전담하는 별도의 기구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 복원과 고증을 위해서는 각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상설적인 연구위원회와 산하의 연구 부서를 설치함으로써 행사를 위한 행정업무와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단오제 관련 각 단체와 지자체는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경산자인단오제의 세계화를 지향해야 한다. 단오제 관련 단체는 복원과 전승뿐만 아니라, 홍보활동을 통해 지역민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지자체는 전담부서를 설립하여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영문 초록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one of the typical Dano Festival in Korea in company with Gangreung Dano Festival and Yeongsan Dano Festival. Gyeongsanjain Dano Festival consists of confucian rituals, gut(the Korean shamanistic rite) and folk feasts like the Hanmyo ritual (confucian-style rituals for general Han who in a folk tale protected local residents with his sister from Japanese invaders in ancient period), Hojang Parade(costume procession), Yeowon Dance, Palkwang Clown Show etc. The value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boundless. However efforts and concerns for the desirable preservation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 currently desirable ways for the preservation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are as follows. First of all, historical research for restoration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urgent. For this purpose, materials about Gyeongsanjain Dano Festival and any information of Jain area from the colonial period should be collected by the complete enumeration including bibliographic data and oral statements. Informants should be selected as many as possible including even Japanese who have any information of Jain area from the colonial period. Data should be administrated systematically by establishment of Archives. Secondly, systematic and broadscale enlargement of the transmission basis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needed. Independent institutes for restoration, transmission and carrying out events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connected groups with Gyeongsanjain Dano Festival should try to globalize the festival. Citizen, connected groups and local government should cooperate with an organic relationship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festival.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산자인단오제의 성격과 의의
Ⅲ. 경산자인단오제의 제의와 연행에 제기된 문제
Ⅳ. 복원된 단오제에 대한 논의
Ⅴ. 몇 가지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心經發揮』를 통해 본 鄭逑의 心學
-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 미국학계의 ‘ 한국 현대사 ’ 연구에서 IPR 자료의 문헌학적 중요성
- 慈仁縣의 역사와 경산자인단오제 계승 주체의 변모
- 경산자인단오제의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심보감』의 도덕교육적 의의
- 明 · 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 『新編牛醫方』연구
- 새 자료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의 특징과 한자음 비교
- 한국명상(瞑想)과 영가무도(詠歌舞蹈)
- 임진왜란시 소년 柳袗의 피란 경험과 그 전승
- 19세기 기록으로 살펴본 女圓舞와 한장군 신앙
-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 ‘ 안용복 ’ 역사적 사실과 ‘ 안용복 ’ 소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