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설의 상호주성에 근거한 유아교육 담론의 가능성

이용수  137

영문명
Possibility of Discours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Husserl s Inter-Subjectiv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화도(Lee Hwa Do) 조희연(Cho Hee Yeo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2권 제1호, 161~1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간주체에 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한 상호주성에 근거하여 유아 교육 담론의 가능성에 한 인문학 논의를 시도하다. 나와 타자 간의 계성에 기한 역 동 주체로의 패러다임의 환은 유아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교육담론의 가능성을 시사한 다. 상호주성의 논제 안에서 볼 때 아동심교육이란 첫째, 교사와 유아가 서로의 주체성을 침해하지 않는 상호주체 계를 제하는 교육이며 둘째, 교사와 유아의 공통 이해를 통 해 이해지평을 확장해나가는 교육이며 셋째, 교사와 유아가 모두 타자를 향하여 개방된 존재 로서 인격 존재간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한 상호주성에 근거한 유아교육에서 교수-학습의 의미는 화를 통한 공동의 이해 형성과 지각에 의한 유아기 사고의 가치 존에 있다. 이런 의미에서 교육 사유는 교사와 유아가 상호주체로서 소통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 가는 상호주성에 기한 소통의 장에 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have a humanistic discussion for the possibility of child-centered education, which received legitimacy from the 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that allowed to have a new interpretation about individual subjects. This transition of paradigm on individual subject proposes possibility of the brand new educational discours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s and myself even in educational-wise. By looking within the subject of inter-subjectivity, child-centered education is understood as; first of all, it is the education premises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that none of teacher and child invades each other’s subjectivity, second, the education that expands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rough the shared understanding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third, it is the education that allows meeting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s respectful beings as opened to others. In addition, the meaning of teaching-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lies in formation of the common understanding and the respect for the value of the child’s thoughts through perception. Therefore, restructuring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provides implication on intention poi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II. 후설의 상호주성 이해
Ⅲ. 상호주성 안에서의 아동심교육
IV. 상호주 계 속에서 유아의 교수-학습
V. 논의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도(Lee Hwa Do),조희연(Cho Hee Yeon). (2018).후설의 상호주성에 근거한 유아교육 담론의 가능성. 교육사상연구, 32 (1), 161-181

MLA

이화도(Lee Hwa Do),조희연(Cho Hee Yeon). "후설의 상호주성에 근거한 유아교육 담론의 가능성." 교육사상연구, 32.1(2018): 161-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