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방법으로서 흥미・체험・사고:

이용수  923

영문명
Interest, Experience, and Thinking as Methods i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양은주(Yang Eun Joo)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2권 제1호, 87~11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이후 학습과 인지과정에 한 과학 이해가 발하면서 통 교육방법의 안을 다 양하게 모색해왔지만 장교사의 방법 개선에 한 갈증과 혼란은 계속되고 있다. 문제의 심 각성은 교육철학의 심이 교육의 목과 이념에 국한되면서 방법의 문제와 유리된 데서 더욱 깊어진다.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에 해 기존의 교육과학 근들과 소통가능한 방식으로 교 육철학 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철학과 실, 목과 수단의 립 을 극복하려는 듀이의 이 재 어떤 새로운 의미와 시사를 주는지 탐구한다. 먼 방법의 어원 의미와 듀이의 논의를 통해 목과 내용에 결합된 본래의 능동 과정 의미에 비추 어 재 교육방법에 한 기술 근의 특징과 한계를 살펴본다. 교육방법에 한 듀이의 특 징 견해는 흥미, 체험, 사고, 세 가지 개념에 을 두어 밝볼 수 있으며, 일상 통념들 과 달리 각각은 정신단련, 교과내용 지식, 자유로운 활동과 립되지 않는 의미로 재해석된다. 결론으로, 교육방법의 문제에 한 듀이의 비과 통찰은 비민주인 사회 삶과 근철학 의 이원론 념들로 인해 왜곡된 의미를 해체・재구성하는 길을 밝다.

영문 초록

As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cognitive processes has developed, various alternative methods in education have been searched for. But classroom teachers experience pressure and confusion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appears that the problem has become serious since the philosophical concerns are confined to the purpose and ideal conception of education in distinction from the problem of methods for classroom practices. The philosophical approach is needed in a way as to communicate with existing scientific approaches to the problem of methods in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Dewey’s philosophical ideas on the nature of method in education with a view to providing a new insight for the current problematic situation, given his pervasive efforts to integrate the dualistic oppositions between philosophy and reality, means and ends, theory and practice. To begin with, I examine the ancient etymological meaning of method and Dewey’s conceptual discussion about it, which illuminates the characteristic limitations of the current technical approach in light of the original active procedural meaning of method. The major inquiry is focused on Dewey s constructive end critical thoughts on interest, experience, and thinking as mehtods in education, which shows that unlike ordinary uses, each of three concepts does not oppose to mental discipline, subject knowledge, and free activity. In conclusion, Dewey s critical insight into the problem of educational methods is to dismantle and reconstruct the distorted meanings due to the undemocratic social life situations and also to the dualistic ideas of modern philosophy.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에서 방법의 문제
Ⅲ. 교육에서 방법의 개선과 신을 한 모색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주(Yang Eun Joo). (2018).교육방법으로서 흥미・체험・사고:. 교육사상연구, 32 (1), 87-114

MLA

양은주(Yang Eun Joo). "교육방법으로서 흥미・체험・사고:." 교육사상연구, 32.1(2018): 87-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