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회의원의 정당기속성과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고찰
이용수 545
- 영문명
- Eine Studie über den Parteizwang und das freie Mandat des Abgeordneten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강태수(Kang, Tae-Soo)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47권 제4호, 339~36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의민주주의에서 국민의 국회의원에 대한 자유위임관계는 국회의원이 현실적으로 구속을 받는 선거구민, 정당 및 이익단체 등의 특수이익을 초월하여 전체 국민을 위한 국가이익을 추구하게 하는 헌법상의 원칙이다. 헌법은 국회의원에게
자신을 선출한 국민이나, 정당 및 이익단체로부터 일체의 법적 기속으로 자유로운 관계를 보장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선출된 후에는 국회의원은 국민의 의사에 관계없이 독자적인 양식과 판단에 따라 정책결정에 임할 수 있다.
헌법 제8조는 정당을 국가기관으로 해석하거나, 정당에 소속된 대통령과 국회의원이 정당의 명령에 복종하여야 한다는 명령적 위임을 인정하는 규정이 아니다. 정당기속성과 자유위임의 실질적인 긴장관계는 헌법규범 상호간의 문제가 아
니라 정치현실과 헌법규범 사이에 존재한다. 정치현실에 있어 국회의원이 정당의 공천을 받아 입후보하고, 유권자는 그 후보자의 소속정당을 고려하여 투표하며, 국회의원이 되면 정당의 지시나 명령에 따라 활동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정
치현실이다. 그러나 헌법은 이런 현실에 법적 기속력을 부여하지 않고, 오히려 의원에 대하여 미치는 정당의 영향력을 제한한다. 대의민주주의는 자유로운 정치적 의사형성과 국가이익을 위한 정책결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의원의 법적인 독립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법률상 교섭단체관련 조항과 같이 의원의 정당기속성을 엿볼 수 있는 규정도 있지만, 이는 법률에 의하여 국회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선거제도를 구체화한것으로 국회의원이 정당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는 근거조항이 될 수 없다.
헌법상 자유위임은 국회의원이 정당이나 교섭단체 또는 선거구민이나 국민으로부터 받는 현실적인 기속력을 부인하지 않는다. 단지 그런 기속력에 법적인 기속력을 인정하지 않으며 일정한 한계를 부여하고 있다. 자유위임은 국회의원이
현실적 기속력에 저항하여 직무수행을 하여도, 그로 인한 어떤 법적 제재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유위임을 통하여 헌법은 법으로 강제될 수 없는 헌법적 기대 내지는 신뢰를 의원에게 보내고 있다. 즉, 국가이익을 위하여 직무수행에서 자유위임적 지위를 행사하라는 기대이다. 국회의원이 이 기대를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그 나라의 공익과 운명이 좌우될 것이다. 그리고 의원에게 보내는 헌법적 기대 내지는 신뢰의 밑바탕에는 그런 헌법적 기대를 담보할 수 있는 자질이 있는 후보자를 국민이 선택하지 않으면 대의민주주의는 허구이며 국민 전체의 이익이 촉진될 수 없다는 경고를 내포하고있다.
영문 초록
Die Abgeordneten sind gem. Art. 46 Ⅱ der Koreanischen Verfassung Vertreter des ganzen Volkes, an Aufträge und Weisungen nicht gebunden und nur ihrem Gewissen unterworfen. Damit wird das sog. freie Mandat umschrieben, das gleichsam Grundlage des gesamten Abgeordnetenstatus ist. Der Abgeordnete ist völlig unabhängig von allen
Interessengruppen und sonstigen Verbänden, von seiner Partei auch. Praktisch könnte dagegen eine starke Abhängigkeitsbeziehung bestehen, zu einem weil ja die Interessengruppen und die vielen Vereine den starken Einfluß auf die Wählerschaft haben, und damit die Wahlchancen sehr stark von diesen Gruppen, von dieser verschiedenen
Organisation bestimmt werde.
Art. 46 II der Koreanischen Verfassung schützt jedenfalls nicht nur den Bestand, sondern auch die tatsächliche Ausübung des Mandats und gewährleistet den Abgeordneten dabei eine eigenverantwortliche Wahrnehmung und Gestaltung ihrer Tätigkeit.
In der Tat gebe es natürlich Zusammenhänge, weil praktisch der Abgeordnete von seiner Partei abhängig sei, ebenfalls wenn er das Interesse habe, wiedergewählt zu werden. Die Chance der Wiederwahl aber werde rechtlich nicht vom freien Mandat abgedeckt. Das freie Mandat beziehe sich auf ein bestehendes, durch Wahl erworbenes Mandat, aber nicht auf den Tatbestand des Erwerbs und allerwenigsten auf den Tatbestand einer Erneuerung und
damit einer weiteren Kandidatur.
Das freie Mandat der Abgeordneten ist nur auf das Amt des Abgeordneten im Parlament bezogen. Gemäß Art. 46 II der Koreanischen Verfassung darf keiner Abgeordnete erfassungrechtlich daran gehindert werden, das Amt eines Abgeordneten nach ihrem Gewissen zu übernehmen und auszuüben.
목차
l. 머리말
ll. 헌법상 자유위임의 개념과 전개
lll. 정당의 헌법상의 지위와 정당기속성
lV. 자유위임의 내용
V. 자유위임의 기능
Vl.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희법학 제47권 제4호 목차
- Anti-Foreign Capital Atmosphere in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egulative Measures -Understanding the Undercurrents of Indian Political Economy
- 정년제에 대한 법적 재고
- 북극 북서항로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양형에 있어서 피해자의 고려와 「피해자 공동책임론」 수용가능성
- 국가관할권 이원지역(ABNJ)에서의 국제해양법질서와 향후 과제:
- 국회의원의 정당기속성과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고찰
- 국제법상 핵물질의 국제운송에 관한 고찰:
-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최초판매원칙 적용에 관한 고찰
- 사형제도의 폐지와 그 대안에 관한 소고
- 한국에서의 소송에 의하지 아니한 분쟁해결절차의 활성화 방안
- 在华外资企业产品责任的法律适用
- A Legal Study of Minimizing Online Defamation of Character:
- 최근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제의 동향과 과제
- 재산명시제도의 실효성 확보방안:
- 국가면제의 예외로서 국가의 비상무적 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망(網)중립성원칙:
-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상의 분쟁해결절차규칙에 대한 법정책적 제언
-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른 법적 과제
- 남북통일과 북한의 대외채무 승계에 대한 고찰
- Doing Business In Russia:
- 선박가압류조약에 관한 고찰
-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경희법학 제60권 제1호 목차
- 면책특권과 국회증언감정법 제9조 제3항의 불이익처분금지 관계
- 교육적 징계로서의 사과편지 작성의 법적 근거와 정당성 - 대법원 2022. 12. 1. 선고 2022두39185 판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