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년제에 대한 법적 재고
이용수 187
- 영문명
- Some Reflections on the Age-Limit System of Korean Companies in the Perspective of Labor Law Theory and Policy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강희원(Kang, Hee-Won)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47권 제4호, 683~72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자본주의사회가 다른 어떠한 선진자본주의사회보다 급속하게 저출산·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최근에 정년제 문제가 한편으로는 노인의 인간다운 생활보장을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생산노동력의 확보를 위해 초미의 관심사로 되어 있
다. 자본주의사회는 근본적으로 노동주의사회이기도 하다. 노동은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본질적인 행위이다. 노동은 인간 존재의 본원적 조건이자 사회를 형성하는 기본적 행위이다.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연을 변화시키면서 그 자신
도 변화한다. 인간은 노동의 성과 즉 그 생산물에 의존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고 노동 자체를 통해 지력과 체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킨다. 현대사회에 있어 노동은 인간이 다른 동료와의 분업과 협업으로 나아가는 통로이다. 인간은 노동을 통
해서 다른 인간과 결합하고 진정한 사회참가를 실현한다. 이와 같이 노동은 행위 자체이자 그 결과에 의해 인간존재의 근거이다.
정년규제입법은 사용자가 사소유권에 기한 고용관리의 자유를 고령자의 노동권 및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보장의 관점에서 일정정도 제약하는 것이 될수밖에 없고, 또 그렇다고 헌법 제32조 제1항의 노동권보장 및 제34조 제1항에 n보장된 근로자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한다는 미명 하에 고령자가 노동의사와 능력이 있는 한 사용자로 하여금 종신동안 고령자를 계속 고용할 의무를 부담케해야 한다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 즉 노동의 주체를 언제까지나 종속노동 하에계속 있도록 법제화하는 것이 근로자의 기본적 인권에 반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현행 정년제는 기본적으로 정년해고제로 전환되어야 하고, 기업의 경영적측면과 장년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노동복지를 고려하면서 한국근로자의 일반적 노동가능연령의 범위 내에서 60세를 최하한 정년연령으로 법정하고, 이를 노동기본법인 근로기준법에 의해 규율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some legal problems of the age-limit System in labour relation of Korean companies, are studied theoretically from the aspects of labor law and its legislation policy.
Firstly, the existing theoretical discussions and arguments related with the korean age-limit employment system are arranged systematically, to which some critical considerations are given in oder to put it into theoretical shapes from the aspects of labor law. In this perspective, it would be liked to emphasize a point that the retirement age
system itself in the private companies has been legitimate since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Aged Act went into effect in 1991.
An then, some suggestions on the labor laws legislation policy of the employing termination due to the age-limit system in the korean private businesses are made on the guess that korean society has been an aged society and the shock of population aging in Korea is reaching a serious level. It is noted that the standard form of the age-limit
employment system of enterprise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mandatory retirement ages system in which the relations of employment is terminated automatically by reaching the age limit, but as the age-limit discharge system in which the relations of employment can be closed at last by employer’s notice of discharge at employee’s attaining the age-limit.
The figure of 55-57, prevailingly adopted as limited age by the private companies lacks social reasonableness in view of the present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conditions, especially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n people is eighty.
In light of the fact that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Aged Act has recommended the age of 60 as the minimum of age-limit since 1991, it is suggested that the minimum of age-limit should be ruled at the age of 60 by the protective legislation and the Compulsory Retirement System of private businesses should be invalidated in case contrary to this legal regulation.
목차
l. 들어가면서
ll. 정년제의 의의
lll. 정년제의 법적 허용성
lV. 정년제의 법률관계
V. 정년 후 재계약의 법률관계
Vl. 고령사회와 정년규제
Vll. 결어
키워드
정년
정년제
정년퇴직제
정년자동퇴직제
정년해고제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고용자고용촉진
재고용계약
고용정책입법
노동입법정책
자본주의
노동주의
age-limit or limit-age
age-limit system
retirement age system
compulsory retirement system
mandatory retirement system, automatic termination by age-limit system
discharge by age-limit system
aging society
aged society
acceleration of
employment of the aged
reemployment contract
hiring policy legislation
labor legislation policy, capitalism
laborism.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희법학 제47권 제4호 목차
- Anti-Foreign Capital Atmosphere in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egulative Measures -Understanding the Undercurrents of Indian Political Economy
- 정년제에 대한 법적 재고
- 북극 북서항로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양형에 있어서 피해자의 고려와 「피해자 공동책임론」 수용가능성
- 국가관할권 이원지역(ABNJ)에서의 국제해양법질서와 향후 과제:
- 국회의원의 정당기속성과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고찰
- 국제법상 핵물질의 국제운송에 관한 고찰:
-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최초판매원칙 적용에 관한 고찰
- 사형제도의 폐지와 그 대안에 관한 소고
- 한국에서의 소송에 의하지 아니한 분쟁해결절차의 활성화 방안
- 在华外资企业产品责任的法律适用
- A Legal Study of Minimizing Online Defamation of Character:
- 최근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제의 동향과 과제
- 재산명시제도의 실효성 확보방안:
- 국가면제의 예외로서 국가의 비상무적 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망(網)중립성원칙:
-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상의 분쟁해결절차규칙에 대한 법정책적 제언
-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른 법적 과제
- 남북통일과 북한의 대외채무 승계에 대한 고찰
- Doing Business In Russia:
- 선박가압류조약에 관한 고찰
-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경희법학 제60권 제1호 목차
- 면책특권과 국회증언감정법 제9조 제3항의 불이익처분금지 관계
- 교육적 징계로서의 사과편지 작성의 법적 근거와 정당성 - 대법원 2022. 12. 1. 선고 2022두39185 판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