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른 법적 과제
이용수 111
- 영문명
- A Legal Problem related to the Use of Biometrics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정훈(Park, Jeong-Hun)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47권 제4호, 401~4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이 본인인증 방법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인간의 신체적ㆍ행동적 특징을 이용하여 특정한 개인이 본인임을 인증하는 구조인 바이오매트릭스는 여러 분야에서 정보보안확보ㆍ안전보장 등의 목적으로 그 이
용영역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바이오매트릭스는 일정한 제한된 시설물의 출입관리 등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주로 이용되었지만, 현재는 출입국관리ㆍ금융, ‘주거지역보안’(homeland security), 전자상거래 등 광범위한 분
야에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뛰어난 보안성의 관점에서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대해 본인인 증정밀도 등 기술개발의 측면에 주목하기 쉽지만, 법적 문제의 검토도 중요하다.
그 대표적인 예로 바이오매트릭스는 각 개인의 유일하고 변경할 수 없는 생체정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버시ㆍ개인정보보호의 문제, 위변조로 인한 문제,본인거부(false rejection)ㆍ타인허용(false acceptance)의 문제, 생체인식데이터의 사
후적인 변경문제, 장애인의 접근성(accessibility) 문제 등 여러 해결과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은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라 법적으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그에 수반되는 현행법상 해결과제를 지적함으로써 법해석ㆍ입법론상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기술한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른 각 개별논점들은 모든 법적 쟁점을 다룬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이 분야의 초기단계의 검토로서 추후 연구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use of biometrics has come to the fore as a personal authentication means. The territory of the use of biometrics, a structure to authenticate a person by th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body or behavior, expands in the various fields on the purpose to secure information security and homeland security. In detail, while biometrics
had been used in the limited area such as facility security, biometrics has been useful for a variety of fields such as finance, homeland security, electronic commerce and etc.
Actually considering legal issues is important while, in general, technology development like accuracy of personal authentication in the use of biometrics attracts an attention in the perspective of superior security. There are various of legal problems such as privacy o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gery or falsification, false rejection or false acceptance, changeability of biometric data after the fact,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and so on since biometrics uses biometric information which is unique, unchangeable.
This thesis has a purpose to suggest a directivity on the legal construction and legal policy to indicate what kind of a legal issues occurs by the use of biometrics; and a resolution under the current laws related to the said issues. Besides, while it did not deal with every legal aspects about respective issues followed by the use of biometrics, this
thesis, as a survey in the early stage on this field, would provide a clue for further research.
목차
l. 들어가는 말
ll.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문제
lll. 위조와 부정한 사용의 문제
lV. 본인거부와 타인허용 및 사후적 변경의 문제
V. 장애인의 접근성 문제
Vl.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희법학 제47권 제4호 목차
- Anti-Foreign Capital Atmosphere in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egulative Measures -Understanding the Undercurrents of Indian Political Economy
- 정년제에 대한 법적 재고
- 북극 북서항로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양형에 있어서 피해자의 고려와 「피해자 공동책임론」 수용가능성
- 국가관할권 이원지역(ABNJ)에서의 국제해양법질서와 향후 과제:
- 국회의원의 정당기속성과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고찰
- 국제법상 핵물질의 국제운송에 관한 고찰:
-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최초판매원칙 적용에 관한 고찰
- 사형제도의 폐지와 그 대안에 관한 소고
- 한국에서의 소송에 의하지 아니한 분쟁해결절차의 활성화 방안
- 在华外资企业产品责任的法律适用
- A Legal Study of Minimizing Online Defamation of Character:
- 최근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제의 동향과 과제
- 재산명시제도의 실효성 확보방안:
- 국가면제의 예외로서 국가의 비상무적 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망(網)중립성원칙:
-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상의 분쟁해결절차규칙에 대한 법정책적 제언
- 바이오매트릭스의 이용에 따른 법적 과제
- 남북통일과 북한의 대외채무 승계에 대한 고찰
- Doing Business In Russia:
- 선박가압류조약에 관한 고찰
-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경희법학 제60권 제1호 목차
- 면책특권과 국회증언감정법 제9조 제3항의 불이익처분금지 관계
- 교육적 징계로서의 사과편지 작성의 법적 근거와 정당성 - 대법원 2022. 12. 1. 선고 2022두39185 판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