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이용수  318

영문명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e Clothing Area Using Creative Field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심(Kim, Young-simž ) 이성숙(Lee, Sung-su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2호, 173~19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편견 및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다문 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 요소,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분석하 였고, 학생들의 수준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의생활을 중심으로 직접 체험하는 활동의 주제와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주제는 ‘알아봐요! 세계 민속의상’,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셔츠 올림픽’, ‘세계 민속의상 패션쇼’, ‘나는야 신발 디자이너!’, ‘화폐 속에 숨어있는 전통의상’, ‘세계 문화유산 박람 회’, ‘제 친구를 사랑해 주세요.’의 8개로 구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창의적 체험활동 중 자율 활동 시간에 작품 제작과정을 고려하여 주제별 2차시씩 총 20차시를 10주간에 걸쳐 적용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연구와 관찰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편견과 다문화 태도 모두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편견의 6개 영역 중 가족구성, 성, 외모, 인종, 장애의 5개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다문화 태도의 영역인 개방성, 수용성, 융통성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관찰 연구 결과에서도 개발된 프로그램은 편견 감소와 다문화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결과로 보아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편견과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실과에서 바느질의 기초를 배운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후 저학년의 발단 단계와 수준에 맞는 다문화 프로그램을 계발과 아울러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e Clothing Area using creative field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creative fieldwork was structured and applied to one 6th 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To develop the program, advanced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actors, the elementary school creative field activities, and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levels of the students which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select the theme of the activities and the aim of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clothing. The themes per class were composed of 8 themes:‘Let s find out! Global Traditional Costumes’, ‘Ours is the Best!’, ‘Shirts Olympics’, ‘Global Traditional Costumes Fashion Show’, ‘I m a Shoe Designer!’, ‘Tradtional Costumes Hidden in Currencies’, ‘World Heritage Exhibition’, ‘Please Love My Friend’. The developed program took into account the project production process which would take place during the free activity times of creative field activities and planned two lessons per theme which were applied over a span of 10 weeks of a total of 20 lessons. Experimental research and observational research were combi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questionnaire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for research and the level of change in the prejudice and attitude was analyzed by researching the observational records of the content of learning materials per lesson, lesson project results, and lesson attitude and actions. As a result, the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scores after the appl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s before the appl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5 areas of prejudice, family composition, gender, appearance, ethnicity and disability, out of 6 areas but the culture area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reas of multicultural attitude which are openness, receptivity and flexibility, al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rogram developed on results of observational research was confirm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prejudice and enhancement of multicultural attitud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결과 및 해석
V. 요약,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심(Kim, Young-simž, ),이성숙(Lee, Sung-sug). (2014).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 (2), 173-195

MLA

김영심(Kim, Young-simž, ),이성숙(Lee, Sung-sug).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2014): 173-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