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이용수  477

영문명
Th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Korea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건남(Lee, Gun-Nam)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2호, 131~1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진로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이 어떤 진로교육에 대한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진로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는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았 다. 특히, 연령, 교직경력 등이 적은 집단에서 이러한 현상이 높았으며, 이렇게 인식하는 이유로 ‘관련 자료 및 시설 미비’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 교사가 원하는 진로교육 운영 형태는 ‘담임교사가 관련 연수 이수 후 운영하는 방법’이며,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진로교육 연수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초등교사는 여러 학문적 영역에 대한 동시 탐구 및 더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아동들의 생활지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고, 초등교육 체제는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 교사가 모든 교과를 지도하는 학급담임제를 운영되기 때문 이다. 넷째, 초등교사는 원활한 진로교육 실시를 위해 “진로교육을 위한 시간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상에 진로교육을 위한 시수 확보가 가능하다고 하나, 현실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교육 등으로 진로교육 시수확보가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다섯째, 초등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교육 영역별 교육요구도 순위 결과,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에 속한 내용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자아 이해의 경우, 나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직업심리검사를 활용하는데 이때, 결과 해석 등에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진로교육 영역별로 특화된 교육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Korea. The survey included 366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as by sex, age, teacher s experience, the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be strengthen a higher level of career education.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not high expectations of career education in the future. Third, after in-service training of career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operate career education as homeroom teacher.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be secure hours of career education for operating career education smoothly.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competencies of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in high leve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건남(Lee, Gun-Nam). (2014).초등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 (2), 131-151

MLA

이건남(Lee, Gun-Nam). "초등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2014): 131-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