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 교과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1
- 영문명
- Effect of Practice o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상희(Ryu, Sang-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2호, 41~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과 수업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 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지역 소재 6개 초등학교의 5학년 302명을 편의표집 하였고,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PSA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는 학업 성적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이 중간 이상인 학생보다 실과교육의 학습내용에 대한 인식과 개인적 선호가 더 높았다. 둘째, 실과 수업에 서의 실습 경험은 초등학생의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실습 경험을 많이 한 학생은 실습 경험을 적게 한 학생보다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하위요 인인 학습방법, 학습내용, 가치, 개인적 선호, 진로, 유용성, 실생활 관련성 모두에서 실습 경험의 많고 적음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 (학업 성적, 실습 경험)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에서 가장 좋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은 실습 경험이었 다. 따라서 실습 경험은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classes o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he objects of study were 302 5th grad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chool record was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low grade showed higher mean on ‘learning content’ and ‘personal preference’ of Practical Arts. However, sex was not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the degree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classes was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students who did practice more than seven times showed higher mean all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learning strategy’, ‘learning content’, ‘value’, ‘personal preference’, ‘career’, ‘usability’ and ‘life relevance’).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gree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classes was significant variable which influences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초등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환경기념일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수준에 관한 연구
- 초등 실과에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발명 기반 STEAM 융합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초등 전기·전자 단원의 재사용 가능한 이러닝 컨텐츠 개발 방안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비교
- 초등 예비교사들의 체면민감성과 신체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교과 교과서 인정제도의 개선 연구
- 초등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TRIZ 40가지 발명원리에 대한 교육적 요구 분석
- 실과 교과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의생활영역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교육프로그램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