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년대 광주지역 무크지의 실제
이용수 1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uth of Mooks in Gwangju Area in the 1980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임시현(IM SI 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9輯, 361~38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mooks in Gwangju in the 1980s, 30 years ago. The period of 30 years gives ample time for the objective criticism thereof. The historical magnitude of the criticism of 10 years of literary mooks in the 1980s is big,
making it a great part of the literary ecosystem in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magnitude, the emergence of mooks in Gwangju is the expression of the sublime will to positively, actively reflect and overcome the tragedy of the then history, specifically, the then literary history and spiritual history. With
such a viewpoin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 behind the mook style emerging in Gwangju in the 1980s. Second, the contents of mooks, emerging in the 1980s, were examin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all these mooks were examined.
Gwangju mooks sought to widely deal with local culture as the fundamental field of the true national culture not from the sectism viewpoint. With the viewpoint that when a nation s culture is concentrated on Seoul (the center
of the nation), it should face dangers, Gwangju mooks deeply thought of culture, and that culture seemed to be embraced as the sublime will to positively and actively reflect and overcome the tragedy of the then history, literary history and spiritual history, which were understood as the life energy or the entire community of the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무크지와 시대적 상황의 지역광주
Ⅲ 광주지역 무크지의 특징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윤곤강 시에 나타난 길의 의미
- 이범선 초기소설의 주체 구성 양상 연구
- 온톨로지 지식과 개체명 세분화를 통한 맥락의미 자동인식의 향상
- 한국어 어두 평음에 대한 일본어 모어 화자의 청취 조사 연구
- 죽유 구영의 생애와 시 세계
- 80년대 서울과 최승자의 시
- 『그 석굴 소년』 에 내포된 불교적 사유와 『만인보』 ‘이후’
- 유사 의미 변별을 위한 문법 텍스트 구성 방안
-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시그널>의 시간과 역사관
- 한글편지에서의 목적격과 주제격에 대한 단일화 과정 고찰
-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 단락 쓰기 학습 자료의 방향성 고찰
- ㅅ 민 필지(士民必知)에 나타난 어문 의식과 근대 지식의 변화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락 쓰기 교육 효과 연구
- <심청전>에 등장하는 안씨맹인의 인물유형과 삽화의 성격
- 새로운 가사 작품 金海許氏의 <望雲歌>와 玄風郭氏의 <부겨>에 대하여
- 신이상주의를 통한 인간성 회복의 모색
- 문학연구와 문학지도(文學地圖)의 연계 연구
- 국어 부사어의 실현 양상
- 한국어 교사들의 발음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학에서 고바야시 히데오(小林英夫)의 흔적과 영향 관계
- 한국주재 영국외교관, 스콧(J. Scott)의 ‘훈민정음 기원론’과 만연사본 『眞言集』
- 인문공학론(2)지식구조화와 하이퍼텍스트
- 1980년대 광주지역 무크지의 실제
- ‘ㄴ’첨가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 조선작 최인호의 유소년 연구
- 한국 현대 노년소설의 변화 양상 연구- 노년 담론의 성장과 작가 의식의 성숙을 중심으로 -
- 한국어 역번역문에 나타난 ‘이/가, 은/는’의 번역 양상과 그에 따른 인식 연구
- 정현종 잎 하나로 에 나타난 아포리즘적 언술의 인지적 고찰 — 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을 중심으로 —
- 이상 수필에 나타난 (자)의식의 지양 및 지향
- 『원가』 의 언로(言路) 방식과 군자지도(君子之道) 세계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