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범선 초기소설의 주체 구성 양상 연구
이용수 393
- 영문명
- Study of aspects that make up the subject of Lee, Bum-sun s novel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홍혜원(Hong, Hyew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9輯, 423~4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consider the compositional aspects of the subject using the method corresponding to war trauma for the early Lee, Bumsun´s novel.
The study of the earlier novel Lee, Bumsun focused mainly on discriminating lyric novels and realism novels and considering each aspect. In this article, we will adapt how the subject cured the war trauma through several neurosis aspects displayed in the early novel and how it was applied to the postwar society on the basis of this I tried to find out whether he was composing the subject.
The research method is Lacan s theory. According to Lacan, the subject is composed of ‘the Real’‘ the Symbolic’‘
the Imaginary works perfectly.
The novel, which is repeatedly given to the homelands of the lost people, is the HakmaulSaramdle,
Sushimga, Kalmaegi . In this work, the hometown is a space where the subject and the others are unified, It is possible to have a comfortable, nursinglike identity, which is similar to the fact that children have a mothertointerest
relationship in the area of ‘the Imaginary and constitute an unbreakable ego by experiencing an identity with the others.
In the case of ‘the Imaginary , which was made in the image of the hometown, it is the absence of the signifiant in the village where the language of the ‘the Symbolic’ is not yet infested. Therefore, the mother of the ovaltan and the
elderly of Dalpangee loses the language and does not learn it, so they bring up the imaginary system.
In the case of a person who has entered ‘the Symbolic’, ‘the Symbolic’ geologist decides not to assimilate, but ‘the Real’ is express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beyond the intention of the subject, that is, through the symptom.
The mal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novels Sunday and Miguragi are passive and show selfdepressing
symptoms.
These passives are symptomatic of the outside world, that is to say, unjustifiable and unreasonable. The male character of ovaltan the representative of the passive figure, shows the urge to die. This is resistance to ‘the Symbolic’. The real world also protects the scars of the subject through illusions, and the illusions
of the novel illusions and 219 , the illusions of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It is a defensive mechanism.
Ultimately, the early novels of Lee, Bumsun can be an effort to cure and adapt the main trauma caused by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and the unreasonable state of the postwar society. But the strong force of trauma have
shown that inappropriate division and neuropathy are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the balance of life, and the divisions and symptoms of the subject are the novel form of inappropriate and neurosis can be seen.
목차
1. 들어가며
2. 고향 상실과 상상계의 호출
2.1. 대상과 ‘나’의 합일
2.2. 언어의 상실과 상상계로의 퇴행
3. 증상과 실재계
3.1. 인물의 수동성과 자기 파괴
3.2. 환상이라는 증상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윤곤강 시에 나타난 길의 의미
- 이범선 초기소설의 주체 구성 양상 연구
- 온톨로지 지식과 개체명 세분화를 통한 맥락의미 자동인식의 향상
- 한국어 어두 평음에 대한 일본어 모어 화자의 청취 조사 연구
- 죽유 구영의 생애와 시 세계
- 80년대 서울과 최승자의 시
- 『그 석굴 소년』 에 내포된 불교적 사유와 『만인보』 ‘이후’
- 유사 의미 변별을 위한 문법 텍스트 구성 방안
-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시그널>의 시간과 역사관
- 한글편지에서의 목적격과 주제격에 대한 단일화 과정 고찰
-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 단락 쓰기 학습 자료의 방향성 고찰
- ㅅ 민 필지(士民必知)에 나타난 어문 의식과 근대 지식의 변화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락 쓰기 교육 효과 연구
- <심청전>에 등장하는 안씨맹인의 인물유형과 삽화의 성격
- 새로운 가사 작품 金海許氏의 <望雲歌>와 玄風郭氏의 <부겨>에 대하여
- 신이상주의를 통한 인간성 회복의 모색
- 문학연구와 문학지도(文學地圖)의 연계 연구
- 국어 부사어의 실현 양상
- 한국어 교사들의 발음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학에서 고바야시 히데오(小林英夫)의 흔적과 영향 관계
- 한국주재 영국외교관, 스콧(J. Scott)의 ‘훈민정음 기원론’과 만연사본 『眞言集』
- 인문공학론(2)지식구조화와 하이퍼텍스트
- 1980년대 광주지역 무크지의 실제
- ‘ㄴ’첨가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 조선작 최인호의 유소년 연구
- 한국 현대 노년소설의 변화 양상 연구- 노년 담론의 성장과 작가 의식의 성숙을 중심으로 -
- 한국어 역번역문에 나타난 ‘이/가, 은/는’의 번역 양상과 그에 따른 인식 연구
- 정현종 잎 하나로 에 나타난 아포리즘적 언술의 인지적 고찰 — 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을 중심으로 —
- 이상 수필에 나타난 (자)의식의 지양 및 지향
- 『원가』 의 언로(言路) 방식과 군자지도(君子之道) 세계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