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메드밸브 삽입술 후 전방 내 실리콘관 첨단의 위치와 각막내피세포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Location of the Tube Tip in the Anterior Chamber and Change in Corneal Endothelium after Ahmed Valve Implant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오원혁 김태우 박기호 김동명 ,Won Hyuk Oh, MD, Tae Woo Kim, MD, PhD,, Ki Ho Park, MD, PhD,, Dong Myung Kim,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3, 469~47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impact of location of a silicone tube tip in the anterior chamber on corneal endothelium after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Methods: We measured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a silicone tube in the anterior chamber to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cornea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n 24 eyes of 21 patients who underwent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All surgerie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The corneal endothelial cells of central, superior, superotemporal, and superonasal area of the cornea were examined by specular microscope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silicone tube in the anterior chamber to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cornea and the corneal endothelium were measured at 19.2 ± 11.8 months (2.8-41.2 months) after surgery. At the central corneal are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2278 ± 565/mm2 vs. 2177 ± 529/mm2, p = 0.043) after surgery was observed, but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amount of decrease and distance from the tip to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cornea. At the superotemporal corneal area where the tip of the silicone tube was located in the anterior chamber, there was more significant loss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than in the other areas after surgery (p = 0.006). Moreover, the amount of endothelial cell loss at the superotemporal area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distance from the tip to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cornea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by time -0.558, p = 0.031). Conclusions: To minimize the loss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after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ensuring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silicone tube to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cornea is importa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정체안 열공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에서 수정체 보존과 백내장 동시수술의 비교
- 안부대상포진에서 유리체혼탁, 망막출혈 및 시신경병증을 동반한 안병증 1예
- 야맹증을 주소로 한 Pantothenate Kinase-Associated Neurodegeneration (PKAN) 1예
- 중등도 이하의 기본간헐외사시에서 사시각에 따른 수술 후 결과 및 입체시 비교
- 각막굴절교정학용 렌즈가 소아의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 난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이용한 가장자리 각막난시 교정
- 백내장 수술 시 DisCoVisc의 특성과 유용성
- 고등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 후 각막지각,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
- 삼차신경통에 대한 경피적 신경차단술 후 발생한 외향신경마비 1예
- 당뇨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점안이 백내장 수술 후 황반부종 발생에 미치는 효과
- 세프트리악손 투여와 관련된 폐쇄성 망막혈관염
- 재발성 군날개 환자에서 미세 다공성 신전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삽입의 임상효과
- 소아 안와연조직염 환자의 임상 특징
- 안내이물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
-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시 스테로이드 농도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 섬유주세포에서 Dipyridamole이 활성산소종과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각막내피세포의 증식 및 손상의 회복에 대한 ROCK 억제제 Y-27632의 효과
- 안와 및 두개내로 파급된 침윤성 국균증: 보리코나졸로 치료한 1예
-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심한 황반하출혈에서 유리체강내 팽창가스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병합요법
- 점안마취 하에서 시행하는 백내장수술에서 백내장 종류별 진행 정도와 수술단계별 통증의 비교
- 전신홍반루프스의 첫 발현 증상으로 발생한 양안의 심한 혈관폐쇄성 망막병증 환자 1예
- 아메드밸브 삽입술 후 전방 내 실리콘관 첨단의 위치와 각막내피세포 변화
- Yokoyama 술식으로 치료한 근시성 고정사시 1예
-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
- 녹내장성 시신경유두함몰 지표로서의 기울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