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시 스테로이드 농도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 for Chalaz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Triamcinolone Acetonid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은주 유성 정병진 이규원 문홍재,Eun Joo Kim, MD, Sung Yu, MD, Byung Jin Jeong, MD, Kyoo Won Lee, MD, Hong Jae Mu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3, 396~40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of an 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chalazion according to triamcinolone acetonide (TA) concentrations. Methods: A total of 108 patients with 120 chalazia received an intralesional injection of TA.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TA: 5 mg/ml, 10 mg/ml, and 40 mg/ml. A regular follow-up was performed and the size of lesion and recurrence were evaluated. Results: Success was defined as a minimum of 80% decrease in size with no recurrence. The success rate was 78.1% in the 5 mg/ml group, 76.2% in the 10 mg/ml group, and 78.4% in the 40 mg/ml group.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999, Fisher’s exact test). Yellow deposits developed in 4 out of 37 lesions in the 40mg/ml group, and in 1 out of 42 lesions in the 10 mg/ml group. Skin depigmentation was observed in 1 case in the 5 mg/ml group. Conclusions: Intralesional TA injec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halaz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TA. However, caution is advised in cases of high injection concentrations of TA to prevent yellow deposi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정체안 열공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에서 수정체 보존과 백내장 동시수술의 비교
- 안부대상포진에서 유리체혼탁, 망막출혈 및 시신경병증을 동반한 안병증 1예
- 야맹증을 주소로 한 Pantothenate Kinase-Associated Neurodegeneration (PKAN) 1예
- 중등도 이하의 기본간헐외사시에서 사시각에 따른 수술 후 결과 및 입체시 비교
- 각막굴절교정학용 렌즈가 소아의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 난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이용한 가장자리 각막난시 교정
- 백내장 수술 시 DisCoVisc의 특성과 유용성
- 고등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 후 각막지각,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
- 삼차신경통에 대한 경피적 신경차단술 후 발생한 외향신경마비 1예
- 당뇨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점안이 백내장 수술 후 황반부종 발생에 미치는 효과
- 세프트리악손 투여와 관련된 폐쇄성 망막혈관염
- 재발성 군날개 환자에서 미세 다공성 신전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삽입의 임상효과
- 소아 안와연조직염 환자의 임상 특징
- 안내이물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
-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시 스테로이드 농도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 섬유주세포에서 Dipyridamole이 활성산소종과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각막내피세포의 증식 및 손상의 회복에 대한 ROCK 억제제 Y-27632의 효과
- 안와 및 두개내로 파급된 침윤성 국균증: 보리코나졸로 치료한 1예
-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심한 황반하출혈에서 유리체강내 팽창가스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병합요법
- 점안마취 하에서 시행하는 백내장수술에서 백내장 종류별 진행 정도와 수술단계별 통증의 비교
- 전신홍반루프스의 첫 발현 증상으로 발생한 양안의 심한 혈관폐쇄성 망막병증 환자 1예
- 아메드밸브 삽입술 후 전방 내 실리콘관 첨단의 위치와 각막내피세포 변화
- Yokoyama 술식으로 치료한 근시성 고정사시 1예
-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
- 녹내장성 시신경유두함몰 지표로서의 기울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