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 후 각막지각,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Changes in Corneal Sensation, Tear Film Stability and Ocular Surface after Advanced Surface Abl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병희 김은주 김지현 이광자 이규원 박영정,Byeong Hee Lee, MD, Eun Joo Kim, MD, Jee Hyun Kim, MD, Gwang Ja Lee, MD,Kyoo Won Lee, MD, PhD, Young Jeung Park,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3, 408~41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s in tearfilm, corneal sensation and ocular surface after advanced surface ablation. Methods: Tearfilm break-up time (BUT), Schirmer test without local anesthesia, fluorescein staining, corneal sensitivity test,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and conjunctival impression cytology were evaluated in 50 eyes of 25 patients who underwent advanced surface ablation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t 2 weeks and at 1, 2, 3, and 6 months. Each value wa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 Results: OSDI diminished by 2 weeks postoperatively, and corneal sensation diminished by 1 month postoperatively (p < 0.05).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BUT by 2 weeks to 1 month postoperatively as well as decreases in the Schirmer test by 2 to 3 months postoperatively (p < 0.05). Fluorescein staining increased at 2 weeks postoperatively (p < 0.05). Goblet cells decreased substantially by 1 month postoperatively and conjunctival squamous metaplasia increased significantly by 2 months postoperatively (p < 0.05). Conclusions: Advanced surface ablation may affect tearfilm, corneal sensation and ocular surface up to 3 months postoperatively. Early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following advanced surface ablation should strongly be consider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정체안 열공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에서 수정체 보존과 백내장 동시수술의 비교
- 안부대상포진에서 유리체혼탁, 망막출혈 및 시신경병증을 동반한 안병증 1예
- 야맹증을 주소로 한 Pantothenate Kinase-Associated Neurodegeneration (PKAN) 1예
- 중등도 이하의 기본간헐외사시에서 사시각에 따른 수술 후 결과 및 입체시 비교
- 각막굴절교정학용 렌즈가 소아의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 난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이용한 가장자리 각막난시 교정
- 백내장 수술 시 DisCoVisc의 특성과 유용성
- 고등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 후 각막지각,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
- 삼차신경통에 대한 경피적 신경차단술 후 발생한 외향신경마비 1예
- 당뇨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점안이 백내장 수술 후 황반부종 발생에 미치는 효과
- 세프트리악손 투여와 관련된 폐쇄성 망막혈관염
- 재발성 군날개 환자에서 미세 다공성 신전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삽입의 임상효과
- 소아 안와연조직염 환자의 임상 특징
- 안내이물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
-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시 스테로이드 농도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 섬유주세포에서 Dipyridamole이 활성산소종과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각막내피세포의 증식 및 손상의 회복에 대한 ROCK 억제제 Y-27632의 효과
- 안와 및 두개내로 파급된 침윤성 국균증: 보리코나졸로 치료한 1예
-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심한 황반하출혈에서 유리체강내 팽창가스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병합요법
- 점안마취 하에서 시행하는 백내장수술에서 백내장 종류별 진행 정도와 수술단계별 통증의 비교
- 전신홍반루프스의 첫 발현 증상으로 발생한 양안의 심한 혈관폐쇄성 망막병증 환자 1예
- 아메드밸브 삽입술 후 전방 내 실리콘관 첨단의 위치와 각막내피세포 변화
- Yokoyama 술식으로 치료한 근시성 고정사시 1예
-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
- 녹내장성 시신경유두함몰 지표로서의 기울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