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의식세계

이용수  935

영문명
The Consciousness of Characters Shown in Lee Mun-yeol's 'Our Distorted Her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양은창(Eun chang Ya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3輯, 235~2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의식 세계를 조명한 것이다. 그 결과 본 텍스트에 나타난 인물들의 의식 세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텍스트의 주요 내용은 부조리한 세계의 반사회적 신경증 증상을 치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골 초등학교 교실이란 공간을 중심으로 한 인간의 욕망과 그 욕망을 교정하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이것은 본 텍스트가 교육학적 모델로 빈번하게 다루어지는 원인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엄석대'의 경우, 욕망하는 대상(other)을 향해 자신의 상상계적 동일시를 투사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자신의 무의식을 사회성의 세계로 진입시키지 못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의 욕망에 사로잡힌 반도덕적이고 반사회적인 인물들의 정신세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반 친구'들은 엄석대의 강압에 못 이겨 자신들의 욕망을 엄석대에게 투사하는 인물들에 해당한다. 즉, 석대의 욕망에 포섭된 반 친구들은 자신들의 욕망을 석대의 욕망에 투사하여 동일시를 일으키는 인물들이다. 이것은 세력이 연합된 본능의 결탁으로 건전한 사회성을 지닌 존재들을 위협하는 불합리한 요소에 해당된다. 새로 부임한 '담임선생'은 신경증 증상이 팽배한 '반 친구들'을 치유하는 인물에 해당한다. 멜라드의 도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욕망의 상상계에 빠진 '엄석대'와 '반 친구들'을 상징계로 이끄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는 건강한 자아를 획득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상징계적 인물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정신세계를 지닌 인물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나'의 경우 무의식의 여정이 '반 친구들'과 같은 궤적을 보여주지만 상대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는 인물로 파악되었다. '나'는 상상계와 상징계적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변증법적으로 연결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욕망의 세계에 가깝게 놓여 있는 보편적인 인간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본 텍스트는 인간의 의식이나 무의식의 세계가 지닌 본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인간의 의식이나 무의식적 세계가 얼마나 허약한 도덕적 토대 위에 형성되어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So far we have looked in to the consciousness of characters shown in the text. The result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in story of the text is the process of curing immoral reality that has antisocial neurosis. It shows a person's desires and the process of correcting it around the place, a rural elementary school classroom. We can see that it is not irrelevant to the reason this text is often used as a disciplinary model. Um Seok-Dae is a character that identifies himself as his desired(other). He can be seen as a person who does not socializes his unconsciousness. It's traits can be understood by the fact that it shows the consciousness of immoral, antisocial people caught in their desires. 'Classmates' can be referred as the ones that project their desires to Um Seok-Dae, identifying their desires to his desire because they could not withstand his pressure. This is a bond of instincts that works as a immoral factor to ones that have healthy social relations. The newcome 'Teacher' is the one that cures the class full of neurosis. As we can see from Mellards diagram, he plays the roll of leading 'Um Seak-Dae' and 'Classmates', that have fell into imaginary, to symbolic. From the fact that he is a person in the imaginary helping to achieve healthy ego, we can know that he is a character with positive consciousness. Lastly, 'I' is seen as showing identical patterns in unconsciousness' trip with the classmates, but to have a relative point. We can know that 'I' is a person who dialectically passes back and forth imaginary's consciousness and symbolic's unconsciousness, and its traits can be understood by the fact that he shows the general human character located close to the world of desire. From the facts above, the text suggests the nature within one's conscious or unconscious worlds, and it could be made significant by the fact that it makes us understand how fragile the moral foundations of human that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worlds stand on is.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분적 방법과 '욕망하는 주체'
3. 신경증 진단과 치유 공간으로서의 현실
4. 부조리한 현실을 향한 욕망의 여정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창(Eun chang Yang). (2015).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의식세계. 어문연구, 83 , 235-261

MLA

양은창(Eun chang Yang).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의식세계." 어문연구, 83.(2015): 235-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